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정치의 사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정치의 사법화가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는지 여부를 둘러싸고 다양한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치의 사법화를 민주주의의 위기로 연결하는 논의들과 다른 관점에서, 정치의 사법화는 민주화의 진전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민주주의와 조응 가능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의 주요 내용은 하버마스의 민주법치국가 기획을 주요한 이론적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미 현대 민주주의는 자유주의적 정치관에 기반한 고전적 삼권분립 원리의 적용을 넘어서 시민사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치의 사법화, 즉 헌법재판은 시민사회와 공론장의 막힌 수로를 뚫어 소통적 권력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해주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만, 정치의 사법화의 민주적 작동방식은 입법자의 지위를 대체하는 초월적 입법자의 지위가 아니라 민주헌정질서의 규범을 유지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has expanded it's scope of the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that caused the crisis of democracy, whether you are presented with different views around.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expansion of judicial power from the crisis of democracy, on the other hand, suggests that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is subject to the progress of democrat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modern democracy. This paper depends on the project of Habermas's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theory. The classical separation of power falls with the basic social assumptions,no longer hold for developed modern democracy. The constitutional judgement must ensure that the "channels" for the inclusive opinion-and will-formation processes. However, the legitimating reasons available from the constitution are given to the constitutional court in adv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plication of law,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gis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