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체제에 대한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정치적 지배구조는 여전히 효율적으로 존재하며 특히 ‘안전제일’의 경제정책은 가까운 장래에 중국의 부상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특히 2008년 전 세계적 금융위기가 발생하고 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미국쇠퇴론이 심화되고 ‘중국때리기’가 확산되는 것은 마치 1980년대 일본에 대한 수정주의(revisionism)가 나타난 상황과 유사하다. 그러나 그 배경이 되는 중국의 부상은 훨씬 광범위하면서도 현실주의자와 자유주의자 모두 그 가능성에 대하여 비관적 혹은 낙관적으로 전망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중국에 대한 오바마 행정부의 외교정책대응도 이전 부시행정부의 실용주의 노선보다 더 현실주의적 우월주의에 근접하고 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동북아시아의 지정학적 현실을 보면, 미국이 중국에 대한 군사적 견제전략을 강화하게 되는 경우 중국도 더욱 공세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의 외교정책방향을 대단히 어렵게 만든다. 중국의 부상에 반대하면서 세력균형을 도모하기도 어렵고 현재의 현상유지적 외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중국패권에 편승하여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단절하기에는 안보환경이 너무 불안정하다. 그런 만큼, 무엇보다 중국의 부상을 분명히 이해하고 새로운 안보질서의 협력틀을 구축하는 온전히 새로운 실용적 외교정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Despite much critics about Chinese socio-economic problems and disparities, the ruling political system over its whole society is still regarded as very efficient and powerful. With its political power, it is generally estimated that China would eventually become a hegemonic power within a few decades. The Chinese government's focus on 'sefety-first' economic policies would also work as a safety valve for her continued rise. One may recall tha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so-called American declinism and China-bashing becam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U.S., just like the revisionism toward Japan in the 1980s. However, the rise of China is much more apparent and special in terms of its widely spread arguments among both realists and liberals, predicting pessimism or optimism, respectively. In addition, Obama administration's policy response is more a realistic primacist than Bush administration's pragmatic policies. If U.S. continues to militarily contain China on the basis of realistic primacism, China would also react aggressively as seen in the case of embargo of rare earth to Japan. Korea's foreign policy would also face a very difficult position. It would be awkward to seek a power balance as well as to maintain a status-quo under the upcoming Chinese hegemony in the region. Yet, Korea cannot bandwagon onto China and cut its military alliance with U.S. because the security environment is still unstable in East Asia. The options for Korea would then to accept China's rise to power and try to set a new lines of pragmatic and cooperative security and economic orders in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