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아세안이 동아시아 지역 협력의 제도화 과정에서 추구했던 리더십 전략을 대외적 대표성과 개별 회원국들의 정책적 자율성의 상호 관계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아세안은아세안 중심성 개념을 표방하면서 지역 협력의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노력하였다. 이러한 리더십은 대외적 대표성과 개별 국가의 정책적 자율성 사이의 균형이 적절히 유지될 때만 비로소 행사될 수 있는 것이었다. 대외적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아세안 국가들 사이의 정책 조정의 수준을 높일 경우, 개별 국가들의 정책적 자율성이 침해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개별 국가들에게 정책적 자율성을 과도하게 허용할 경우, 대외적으로단일한 정책의 표방과 일관성 있는 추진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딜레마를완화하기 위해 아세안이 선택한 전략은 내부적 통합을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심화해 나가는 것이었다. 달리 말해, 아세안은 지역 협력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대외적 대표성과 내부적 통합 사이의 균형을 동태적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East Asian countries have actively sought to institutionaliz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region. This aims to explain how and why ASEAN could exert the leadership in this process.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motivations: external representation and individual countries’s policy autonomy. I argue that ASEAN could play a leadership role as it maintained the subtle balance between the two policy objectives, which can be potentially contradictory to each other. On the one hand, if ASEAN tries to substantially enhance policy coordination among ASEAN members to strengthen external representation, it runs the risk of undermining individual countries’ policy autonomy. On the other hand, If ASEAN stresses individual countries’ policy autonomy, it is difficult to take a coherent policy stance, thereby weakening external representation of ASEAN. I demonstrate that ASEAN has continuously deepened internal economic integration as a means to address this dilemma. That is, internal economic integration helped ASEAN engage in a dynamic and evolutionary balancing between external representation and individual countries’ policy aut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