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적 연구를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사회적 합리성의 다양성(varieties of social rationality)이라는 연구 방향을 시론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지배적인 합리성 개념인경제적 합리성이 인간 행동의 보편주의적 성격을 강조한다면, 사회적 합리성은 인간 행동의 사회적 성격을 강조하고, 각 사회의 역사적 경험에따라 합리성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의 입장에서 보면, 합리성이 구축되는 토대는 인간의 내재적인 특성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규범적-인식적 믿음 체계(socially shared normative-cognitive belief system)”이다. 따라서 정치경제적 현상을 분석하는 중요한 개념인 합리성이라는 개념은 경제적 합리성이 아닌사회적 합리성으로 규정하고, 사회적으로 상이한 믿음 체계를 분석해야한다. 또한 사회적 합리성의 토대가 되는 믿음 체계는 권력 중립적인 분석 대상이 아니라 한 사회의 권력관계를 반영하는 산물이면서, 동시에 특정한 권력관계를 형성 또는 공고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합리성에 따른 분석은 구성주의적 권력관계에 대한 분석과 동시에이루어져한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constructivist political economy by sketching a research program on varieties of social rationality. While economic rationality stresses the universality of human behavior, social rationality puts emphasis on the social nature of human behavior and assumes that rationality can be different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each society. In particular, from a constructivist standpoint, the basis on which rationality is constructed is not an innate nature of human being, but a socially shared normative-cognitive belief system. In this respect, the concept of rationality for analyzing political economic phenomena needs to be defined as social rationality rather than economic rationality and it is required to analyse socially variant belief systems. In addition, the belief system on which social rationality is based on not only reflects the power relationship of a society, but also play a role in shaping and/or consolidating a particular form of power relationship. Therefore, an analysis of social rationality is required to be accompanied by an analysis of power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