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울증에 대한 철학적 사유는 우울증의 본질적 문제들에 집중한다. 우울증의 현상적 실재에 직면하여 철학은 그 현상적 배경과 의미를 탐구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증상의 현상적 사라짐이 아닌 존재-심리학적 치료를 원한다. 결국 우울증이 지닌 철학적 의미는 우리가 단순히 행복을 원하는 존재가 아니라 아타락시아 또는 평안을 원하는 존재임을 드러낸다. 정상적 사회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스트레스일 수 있으며 우울증은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사인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논리로 인간에겐 죽음, 즉 영원한 휴식에의 욕망이 있을 지도 모르는 것이다. 결국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우울증의 근원적 치료는 평안과 안식을 느낄 때에만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자아를 버리라는 석가의 가르침이나 사랑을 통해 자아를 넘어설 수 있다는 그리스도의 지혜가 이상적이지만은 아닌 것이다.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Depression concentrates on the essential problems of it. Faced to the phenomenological Reality of Depression philosophy asks for the phenomenal background and its meaning. Therefore we don't want the phenomenal disappear of symptom, but onto-psychological cure. Finally conclusion of the philosophical thought regarding to Depression reveals, that we are not the being, whose purpose is simply the happiness, but the being, who is seeking for the ataraxia or such as calmness. Maintaining the identity as the normal social being might cause the stresses, and Depression could be the sign for the will of escaping from such stresses. In the same logic we might habe the desire for death, which means the eternal rest. Finally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substantial cure of Depression is only possible, if someone feels calmness and rest. Therefore the thought of Buddha, we have to be free from Ego, or the wisdom of Jesus, that we transcend Ego through Loving God and each other, could not be just understood as Ide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