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식민지배의 초기에 활동한 ‘통역’ 및 ‘통역경찰’의 사회적 배경을 알기 위하여 개항전후부터 한일합방 때까지의 일본인의 조선어 학습의 제도와 현실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일본에서 한국어 교육은 대마도를 근거지로 하여 세습적인 가문들에 의해 ‘교린’이라는 맥락에서 이루어지다가 1872년부터 근대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는데, 청일전쟁을 계기로 조선의 식민지화를 위한 준비활동으로 전환되었다. 일본인의 한국어 교육의 근거지는 대마도와 부산이라는 이행기적 축으로부터 동경과 서울이라는 근대적-식민지적 축으로 옮겨졌고, 이 때문에 통역들은 출신지역과 학연에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있었다. 식민지 관료제에서 한국어 통역은 구마모도현이 만든 낙천굴과 일본정부가 설립한 동경 외국어 학교를 통해 많이 배출되었는데, 전자는 실무자급을, 후자는 책임자급을 만들어냈다.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Japan for the understanding the social background of Japanese translator and translation police, who are working around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The tradi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translator had been done among hereditary families in the context of interchange, ‘gyorin’ in Tsusima. Even transitional education started from 1872 by backing up of Meiji Government, in Tsushima, but for the more efficiency it should be moved to Busan in 1873. It was influenced by Korean conquering opinion before the first opening of Incheon. After the Japanese-Chinese war, Korean language was getting more popularity in Japanese society, some modern school have been established in Seoul and Busan. In early phase of modern system, the basis had been moved from Tsusima -Busan line to Tokyo-Seoul modern and colonial line. Translators had been recruited by local and educational networks. In colonial bureaucratic institute, the upper group are recruited from Tokyo foreign language school, and the executive group are mainly recruited from the Korean school established by Kumamotoken named Nakcheong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