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도의 수행방식과 사회적 편견 때문에 여성의 출가에 신중했던 붓다의 태도는 나중에 불교계에 여성에 대한 두 개의 상이한 인식을 낳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그 하나가 부파불교가 초기 대승불교교단 일부에 존재했던 ‘여성은 깨달을 수 없다는 이론(女性不成佛論)이고 다른 하나가 원시불교와 대승불교에 존재했던 여성은 깨달을 수 있다는 이론(女性成佛論)이었다. 초기 불교계에 없었던 여성불성불론이 불교계에 나타났던 것은 인도정국과 교단내의 변화가 크게 작용하였다. 바라문을 숭상하던 슝가왕조가 인도정국에 등장하고 이어 바라문 부흥운동이 일어난다. 인도사회는 급격히 보수화 되었고 여성을 단지 남성의 보조자나 종속적 존재로 보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 영향이 남성출가자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불교계 교단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이러한 바라문 문화의 영향으로 불교계의 여성인식도 변화를 겪어 여성이 성불할 수 없다는 여인오장설(女人五障說)과 여래 32상호설 등이 율장(律藏) 혹은 法華經이나 大智度論 등에 주로 거론되었다. 대승불교가 등장하고 나서도 당시 실세였던 부파 교단의 반여성적 인식태도를 쉽게 해소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기존 교단의 반발을 무마하고 부처님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여성성불론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타협점에서 대승불교계에 등장한 것이 여성변성성불론(女性變成成佛論)이었다. 이 과도기적인 사상은 기존 교단과 갈등을 빚지 않고도 대승불교흥기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여성을 수행생활의 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었다. 그리고 여성에 대한 인식이 차츰 불교계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뀌자 여성즉신성불론(女性卽身成佛論)이란 여성성불론을 維摩經과 勝鬘經 등에서 전면에 내세우면서 불교사상 본래의 입장을 회복하였던 것이다. 이와같이 불교는 여성성불의 근거와 의미를 여성성불론을 통해 해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여성을 남성과 같은 동등한 인격체로 보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인간의 구원과 해탈의 문제는 사회의 제도와 관습, 나아가 성차와 무관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Women’s Capability and Significance of Becoming Buddha Buddha teach all human being to likewise achieve autonomous and independent characters. Therefore teaching by Buddha show the way for all creatures become buddha themselves. So the woman also can be pravrajita-samāpanna(出家者). According to Buddhist Vinya, the bhikkunī(比丘尼) must keep the law of Eight Respectables(八敬法). The Mahāprajapati was the first example of a woman becoming a bhikkunī. But we are not sure that these kind of law originated in Buddha's actual word or not.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Hĩnayāna to early Mahāyāna Buddhism, Buddhists developed concern for woman who were not able to be perfectly enlightened. Specially the woman Keeped Five Obstacles for Woman(女人五障說) and Thirty Two Exellent Mark of Tathāgata(如來32相好). So they inisist that woman must become men(女性變成成佛論) before they achieved the Nīrvāṇa. It's written Vinaya-Pitaka(律藏)Saddharmapuṇḍarīka-sūtra(妙法蓮華經)Mahāprajñāpāramit-śastra(大智度論). In Mahāyāna Buddhism, the general of woman becomes equal to men. they declared that a woman can be enlightened remaining just as she is(女性卽身成佛論). It's written Vimalakīrti-nirdeśa-sũtra(維摩經)Śrīmālādevī-siṃhanāda-sũtra(勝鬘經), and other Mahāyāna-sũtras. They refer to the both of woman and men can be tathāgata, dharma-bhāṇak, bodhisattva(or the ideal model of human). but in India Buddhism, the ideal model of human consisted mostly of men.


Women’s Capability and Significance of Becoming Buddha Buddha teach all human being to likewise achieve autonomous and independent characters. Therefore teaching by Buddha show the way for all creatures become buddha themselves. So the woman also can be pravrajita-samāpanna(出家者). According to Buddhist Vinya, the bhikkunī(比丘尼) must keep the law of Eight Respectables(八敬法). The Mahāprajapati was the first example of a woman becoming a bhikkunī. But we are not sure that these kind of law originated in Buddha's actual word or not.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Hĩnayāna to early Mahāyāna Buddhism, Buddhists developed concern for woman who were not able to be perfectly enlightened. Specially the woman Keeped Five Obstacles for Woman(女人五障說) and Thirty Two Exellent Mark of Tathāgata(如來32相好). So they inisist that woman must become men(女性變成成佛論) before they achieved the Nīrvāṇa. It's written Vinaya-Pitaka(律藏)Saddharmapuṇḍarīka-sūtra(妙法蓮華經)Mahāprajñāpāramit-śastra(大智度論). In Mahāyāna Buddhism, the general of woman becomes equal to men. they declared that a woman can be enlightened remaining just as she is(女性卽身成佛論). It's written Vimalakīrti-nirdeśa-sũtra(維摩經)Śrīmālādevī-siṃhanāda-sũtra(勝鬘經), and other Mahāyāna-sũtras. They refer to the both of woman and men can be tathāgata, dharma-bhāṇak, bodhisattva(or the ideal model of human). but in India Buddhism, the ideal model of human consisted mostly of 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