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가사지론』의 「성문지」는 種姓地와 數取趣地(pudgala)와 安立地와 出世間地의 4가지의 대 주제를 상정하고, 數取趣地의 과단에서 다시 유가수행의 주체․대상․방법․결과․장애 등에 대하여 19가지의 소주제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19가지 소주제 중 세 번째 주제는 유가수행자 앞에 나타는 소연에 대하여 다룬다. 이 때의 소연은 유가수행자가 수행에 임했을 때 만나게 되는 인식대상으로, 「성문지」는 이에 대하여 4종으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4종소연은 편만소연, 정행소연, 선교소연, 정혹소연이며, 편만소연은 수행시 나타나는 영상의 漸次觀을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으며, 정행소연의 수행의 방법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선교소연은 교법을 통한 수행의 접근을 설명하고 있으며, 정혹소연은 선정과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 편만소연은 정행소연, 선교소연, 정혹소연의 所知事(jñeyaṃ-vastu;알아야 할 대상)를 대할 때, 나타나는 영상의 유무의 문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편만소연에서 나타나는 4가지 즉 有分別影像, 無分別影像, 事邊際性, 所作成瓣의 소연의 현상을 파악하고, 각 단계의 특징을 밝히는 데에 있다. 유분별영상은 정행소연의 5정심관과 선교소연의 온처계와 정혹소연의 9차제정을 수행할 때 나타나는 영상을 의미하며, 이 단계에 들어간 수행자는 vipaśyanā를 簡擇, 極簡擇, 遍尋思, 遍伺察의 4심사관으로 행해야 한다고 한다. 이는 觀을 중심으로 하는 수행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 단계의 무분별영상은 4심사행의 vipaśyanā를 행하지 않고 9種心住 즉 內住, 等住, 安住, 近住, 調伏, 寂靜, 最極寂靜, 一趣, 等持의 śamatha행을 닦아야 한다고 한다. 이는 止를 중심으로 하는 선정의 깊이라고 할 수 있다. 선정의 완성의 단계에 이르면 소연의 현상의 끝을 알게 되는데, 이를 『유가사지론』은 사변제성이라고 하고 盡所有性과 如所有性을 아는 것이라고 한다. 진소유성은 온처계와 4제를 아는 것을 의미하며, 여소유성은 소연의 교법 속에서 4종의 연기관으로 진리와 진여를 아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 단계의 소작성판은 vipaśyanā와 śamatha 수행을 닦는 결과로써 나타나는 소연의 원만성을 나타낸다. 소작성판의 단계에서는 일체 번뇌종자의 麤重(습기로 있는 무거움)이 떨어져 轉依를 얻고, 무분별의 지혜가 나타나서 現量의 知見을 얻는다고 한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systematically sa-vikalpa-pratibimba(有分別影像), nir-vikalpa-pratibimba(無分別影像), vastu-paryantatā(事邊際性), anuṣṭhāna-kārya- pariniṣpatti(所作成辦) which are 4 kinds of ālambana(所緣) in vyāpya-ālambana(遍滿所緣) in śrāvaka-bhūmi of Yogācārabhūmi, and to explain the character of each of them. The sa-vikalpa-pratibimba means the image which appear when they practice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of carita-viśodhana-ālmabana(淨行所緣), skhanda(蘊), āyatana(處), dhātu(界) of kauśalyālambana(善巧所緣), and the nine successive stages of meditation(九次第定) of kleśa-viśodhana-ālmabana(淨惑所緣). The practitioner who enters to this stage should practice the vipaśynā by the four analytical inquiries and insights(四尋思觀) that is made up of vicaya(簡擇), pravicaya (極簡擇), parivitarkayati(遍尋思), parimīmāṃsām āpadyate(遍伺察). In the stage of nir-vikalpa-pratibimba, the practitioner needs not to practice the vipaśynā, but he should practice the śamatha of navākara-citta-sthitiḥ(九種心柱) which are sthāpayati(內住), saṃsthāpayati(等住), avasthāpayati(安住), upasthāpayati (近住), damayati(調伏), śamayati(寂靜), vyupaśamayati(最極寂靜), ekoti-karoti(一趣), samādhi(等持). When the practitioner reaches to completion of meditation, he is able to know the end of ālambana, which is called as vastu-paryantatā in Yogācārabhūmi, in other words, this is the same to know yāvad-bhāvikatā(盡所有性) and yathāvad- bhāvikatā(如所有性). The yāvad-bhāvikatā means to know khanda, āyatana, dhātu, and the Four truths(四諦) . The yathāvad-bhāvikatā means to know the truth and tathātā(眞如) by 4 kinds of the insight into causality in the doctrine of ālambana. The last stage, or the anuṣṭhāna-kārya-pariniṣpatti is the completeness which is the outcome of the practice of vipaśynā and śamatha. In this stage, the practitioner is free from all the seed of agony, and achieves the Turning(轉依), and attains pratyakṣa-jñāna(現量智) from the wisdom of non-thought(無分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