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Chinul was the first Korean Buddhist teacher to write about the kanhwa Sŏn technique and to champion its use. The approach to kanhwa Sŏn that Chinul outlines in his writings differs in some important respects from that which becomes normative within the Línjì/Imje tradition. The most crucial of these differences is the accommodation Chinul seeks to accomplish between his preferred soteriological approach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and kanhwa practice. The interpretation ofkanhwa Sŏn that is generally accepted by Línjì teachers in both China and Korea views the technique as involving the soteriological stratagem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ono tonsu). Where kanhwa Sŏn is viewed as radical subitism, the technique is claimed to focus exclusively on the enlightenment experience itself, the presumption being that a full and complete awakening would automatically perfect any and all forms of cultivation, thus rendering both awakening and practice “sudden.” In order to reconcile this new system of kanhwa Sŏn with his preferred soteriology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Chinul must negotiate a quite considerable divide in Chán/Sŏn soteriological approaches. Chinul takes two distinct approaches to this reconciliation. First, he treats kanhwa Sŏn as an approach that can be incorporated, albeit hesitatingly, into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viz., generating correct understanding constitutes sudden awakening; kanhwa Sŏn constitutes the subsequent gradual cultivation). Chinul's distinction between two distinct types of hwadu investigation also allows for a way of incorporating kanhwa Sŏn into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investigation of its meaning” (ch'amŭi) generates the initial sudden understanding-awakening; “investigation of the word” (ch'amŭi) overcomes the cognitive obstructions (jñeyāvaraṇa) and results in the realization- awakening. Second, Chinul treats kanhwa Sŏn as a separate technique that has nothing at all to do with Buddhist scholastic accounts of the different outlines of awakening and cultivation he had examined previously: viz., the hwadu was a special kind of “shortcut expedient” that transcends all other soteriological schemata. By tacitly accommodating sudden awakening/sudden cultivation in his late writings on kanhwa Sŏn, Chinul undermined his own preferred soteriology and prompted critiques of his signature approach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지눌은 간화선이라는 명상 기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그것의 사용을 지지한 최초의 한국승려이다. 지눌이 그의 저작에서 대략적으로 설명한 간화선에 접근하는 방식은 임제종내에서 표준이 된 그것과는 몇 가지 중요한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차이점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지눌이 자신이 선호한 돈오점수라는 수증론적 방식과 간화선 수행 사이에서 조화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중국과 한국에서 임제 선사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간화선에 대한 해석은 이 명상 기법을 돈오돈수라는 수증론적 체계를 반드시 수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간화선을 극단적인 돈오지상주의로 볼 경우 이 기법은 깨달음의 체험그 자체에만 집중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완전한 깨달음은 어떠한 수행의 형식이되었건 그것들을 모두 저절로 완벽하게 만들어 버릴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것으로서깨달음과 수행 양자를 ‘즉각적’인 것이 되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간화선 체계를 그가 선호했던 돈오점수의 수증론과 조화시키기 위하여 지눌은 선 수증론의 접근 방법에 있어서의 상당한 간극을 극복해야 했다. 첫째로 그는 비록 신중한 태도를 보이긴 했지만 간화선을 돈오점수의 틀 안에 통합될 수 있는 접근 방법으로 취급한다(다시 말해 바른 이해는 즉각적인 깨달음[돈오]을 낳고, 간화선은 이어지는 점진적 수행[점수]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지눌이 화두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것 또한 간화선을 돈오점수의 틀에 통합하기위한 방편을 제공한다. ‘뜻을 탐구함’[參句]을 통해 처음의 즉각적인 해오(解悟)를 일으키고, ‘말을 탐구함’[參句]을 통해 인식의 장애[所知障, jñeyāvaraṇa]를 극복하여 증오(證悟)를 얻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눌은 간화선을 그가 이전에 검토한 깨달음과 수행을 설명하는 갖가지 불교 교학적 설명들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별개의 기법으로 다룬다. 곧 화두는모든 다른 수증론의 틀을 초월하는 특별한 ‘경절의 방편’[徑截門]인 것이다. 은밀히 돈오돈수를 간화선에 관한 그의 저작 중에 수용함으로써 지눌은 그가 선호했던 수증론의 토대를 무너뜨리고 돈오점수라는 그의 독특한 방법론에 대한 비판을 야기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