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신경세포의 전기적 특성으로 아비담마의 인식과정 들여다보기를 시도하였다. 우선 1마음찰나를 1/75초로 하여 아비담마의 인식과정을 논의하였다. 아비담마에서는 여섯가지 감각의 문과 각각에 대응하는 감각 대상이 있다고 한다: 눈의 문과 색대상, 귀의 문과 소리대상, 코의 문과 냄새대상, 혀의 문과 맛대상, 몸의 문과접촉대상 그리고 마음의 문과 법대상. 처음의 다섯 가지 물질적인 감각의 문은 각각의물질적인 대상에만 관계하나, 여섯 번째의 정신적인 마음의 문은 물직적인 오문의 대상과 법대상을 취한다: 법대상은 오직 마음에 의해서만 인식된다. 여섯 가지 감각의 문 중하나가 그것에 해당하는 대상에 의해서 자극되면 일련의 정신적인 인식과정이 일어나는데, 여섯 가지의 인식과정이 있다: 눈의 문 인식과정, 귀의 문 인식과정, 코의 문 인식과정, 혀의 문 인식과정, 몸의 문 인식과정, 마음의 문 인식과정이다. 처음 다섯 가지를오문 인식과정이라 한다. 아비담마의 인식과정을 신경과학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오문 중에서도 ‘매우 큰대상’을 가지는 눈의 문에서의 인식과정을 선택하였다. 아비담마의 인식과정은 신경세포의 폭발(버스팅) 신호에, 그리고 바왕가는 폭발 신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안정막 전압에 비교되었다. 눈의 문의 인식과정에서는 7종류 14개의 찰나의 마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오문전향, 안식, 받아드리는 마음, 조사하는 마음, 결정하는 마음, 7개의 처리하는 마음, 2개의 등록하는 마음이다. 이러한 눈의 문 인식과정에서 바왕가의 동요에서부터 결정하는 마음까지의 과정을 원숭이의 망막에 상이 맺힌 다음에 신호가 전전두엽까지 도달하는 과정과 비교하였다. 신호가 망막에서부터 전전두엽(PFC)까지 전달되는 루트는 복잡하지 아니하다. 시각정보는 망막에서부터 외측슬상체(LSN ⟷ ‘오문전향’)로 전달되고 나서 1차 시각피질(V1 ⟷ ‘안식’)로 간다. 거기에서부터 시각 신호는 V4영역(V4 ⟷ ‘받아드리는 마음’)을거쳐서 전하측두피질(AIT ⟷ ‘조사하는 마음’)까지 도착한다. 거기에서 전전두엽(PFC ⟷ ‘결정하는 마음’)까지 투사한다. 원숭이가 사과를 보고 난 후에 이것을 범주화하는데까지는 약 0.1초가 걸린다. 각각의 과정에서 마음의 기능과 반응 시각이 서로 상당히유사하다. 그리고 인식과정에서 나타나는 처리 ․ 저장단계에서의 마음의 기능들과 뇌과학에서 다루고 있는 그것들이 서로 유사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매우 다른 특성이 있는 이 두 가지 경우가 어떻게 서로 비슷한 결과를 낼 수 있는가? 이러한 문제는장차 설명될 필요가 있는 재미있는 주제이다.


This paper traces the eye-door cognitive process in abhidhamma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ignals of neurons. One seventy-fifth of a second was used as the time scale of a mind-moment. In Abhidhamma, there are two sets of six sense bases: six internal sense organs and six external sense objects. They are eye and color, ear and sound, nose and odor, tongue and taste, body and touch, mind and mental objects. The first five senses coordinate with the mind. However, dhamma objects can be perceived only by the mind. When one of the six sense organs is stricken by its respective sense object, there arises a series of mental cognitive processes. In order to compare the cognitive process of abhidhamma with the findings of neuroscience, the eye-door cognitive process is considered, which can encompass any object, however big it is. The cognitive process of abhidhamma is compared to the bursting signals of nerve cells and the bhavanga with the membrane potentials appearing between the bursting signals. In the eye-door cognitive process, seven types of consciousness sequentially act in progression: a fivefold one for conversion, a visual, a receiving, an investigating, a determining, seven impulsive, and two registering. The sequential processes of visual stimuli that proceed from vibration in the life-continuum to a determining consciousness is compared to a similar process in the chain of visual processing that takes place between the retina and the prefrontal cortex (PFC) in the brain of a monkey. Visual signals are smoothly routed from the retina to the PFC. Visu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tina to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of thalamus (the type of consciousness corresponding to LSN is a five-door adverting consciousness). From there it goes to the primary visual cortex (V1 ↔ eye consciousness). The visual signals then arrive via the visual area V4 (V4 ↔ a receiving consciousness) to the anterior inferior temporal cortex (AIT ↔ an investigating consciousness). Then, the AIT projects to prefrontal cortex (PFC ↔ a determining consciousness). A monkey takes up to about 100 ms to categorize the information after seeing an apple. In each cognitive process, the mental functions and response times are almost matching. Research is ongoing to underst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mental functions in the cognitive process in abhidhamma and those in brain science. How could these two cases with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cause similar results? This subject needs much deeper research from both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