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마하왐사(Mahāvaṃsa)』의 사건들을 객관적으로 조명해봄으로써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를 비판하고 그 바람직한 미래상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란 스리랑카의 다수 민족인 싱할라의 대다수가 믿는 불교와 싱할라의 문화와 민족성을 하나로 통합한 ‘종교 민족주의(religious-nationalism)’이자 ‘정치 이데올로기’이다.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자들의 성전(聖典)이 된 것이 바로 『마하왐사(Mahāvaṃsa)』이다.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자들은 『마하왐사』에 기록된 붓다의 스리랑카 방문을 붓다가 싱할라 불교도에게만 약속의 땅을 부여한 것이라고 해석하였으며, 기원전 1세기 섬의 많은 부분을 지배했던 타밀 왕 엘라라(Elāḷa)를 물리친 둣타가마니(Duṭṭhagāmaṇī) 왕을 불교와 싱할라를 구한 영웅으로 부각시켰다. 그리고 스리랑카를 싱할라만을 위해 약속된 땅인 ‘싱할라디빠(Sinhala-dīpa)’이며, 테라와다(Theravāda)의 약속된 땅이라는 ‘담마디빠(dhamma-dīpa)’로 간주하였다. 유감스럽게도 『마하왐사』의 역사적 사건들은 불교와 싱할라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폭력을 정당화하려는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너무 곧이곧대로 해석되고 자주 인용되어 왔다. 『마하왐사』의 역사적 사건들은 마하위하라(Mahāvihāra)의 장로들이 자신들이 전지해온 테라와다(Theravāda)의 정통성을 부각시켜 분열된 섬 안의 불교 교단들을 하나로 결속하기 위한 목적에서 윤색했다고 인정되지만, 그렇다고 그들이 싱할라 민족의식이나 타밀에 대한 세속적 적개심을 지녔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마하왐사』를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의 작품으로 보는 통념은 잘못이다.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는 다원화된 현대의 스리랑카에 장애가 되고 있으며, 계급과 민족을 초월한 휴머니즘, 모든 중생들에 대한 자애(慈, mettā)와 연민(悲, karuṇā), 절대적인 비폭력(ahiṃsā)을 강조하는 붓다의 근본정신과도 상충한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붓다에게로 되돌아가야 한다. 붓다에게 돌아간다는 것은 평화, 불살생, 비폭력, 법다운 법왕(dhammika-dhammarāja)이라는 전통적인 불교 원칙들을 다시 고찰하는 것이며, 그럴 때만이 싱할라 불교 민족주의는 사해동포주의로 승화되고 테라와다의 외연도 넓어질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Sinhalese Buddhist Nationalism’ and seek for its desirable future perspective, examining historical events in the Mahāvaṃsa objectively. Sinhalese Buddhist nationalism is a political ideology or a religious nationalism which combines a focus upon Sinhalese culture and ethnicity with an emphasis upon Theravāda Buddhism, which is the majority belief system of most Sinhalese people in Sri Lanka. In effect, the Mahāvaṃsa becomes the Bible for Sinhala Buddhist nationalists. For example, the legendary visits of the Buddha to the island recorded in the Mahāvaṃsa are interpreted as consecrating a promised land exclusively for Sinhala Buddhists, and King Duṭṭhagāmaṇī, who defeated Tamil King Elāḷa, who ruled much of the island in the first century C.E., is lionized as a national hero. The island of Sri Lanka is imagined as ‘island of the Sinhala people (Sinhala-dīpa)’ and ‘island of the Buddha (Dhamma-dīpa)’. Unfortunately, these historical events in the Mahāvaṃsa have been taken too literally and often cited by Sinhala Buddhist nationalists to legitimate communal violence in the name of Buddhism and Sinhalese nationhood. Although these historical events were innovated and modified by the Mahāvihara elders with a view to reconciliate three Buddhist sects in the island by demonstrating their authority on Theravāda, it is unlikely that they had Sinhala ethnic awareness or secular hostility against the Tamils. Therefore, the popular view of the Mahāvaṃsa as a work of Sinhalese Buddhist nationalism is incorrect. Sinhalese Buddhist nationalism becomes an obstacle to pluralistic modern Sri Lanka, and contradicts to the original sprit of the Buddha such as humanism which is beyond race and caste, loving kindness (mettā) and compassion (karuṇā) towards all living beings, and absolute non-violence (ahiṃsā). In this sense, we must get back to the Buddha. To get back to the Buddha is to look at again the time- honored Buddhist principles of peace, non-killing, nonviolence, and the ideal of the righteous ruler (dhammika-dhammarāja). Only by doing so, Sinhalese Buddhist nationalism can be transformed into Cosmopolitanism and Theravāda can be propagated more wid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