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Mūlasarvāstivādavinayabhaiṣajyavastu:MSVBv)』는 『대반열반경(Mahāparinirvāṇa-sūtra)』을 바탕으로 붓다의 마지막 행적을 묘사한 내러티브를 담고 있다. 붓다의 마지막 모습을 다양한 극적 장치와 플롯(plot)으로 감동적으로 그리고 있다. 그리고 근본설일체유부가 방대한 그들의 비나야(vinaya)를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업(業)의 절대성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MSVBv 제5권의 분석을 통하여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MSVBv는 붓다의 마지막 행적의 순서를 다른 경과는 다르게 편성하고 있는데이는 자체적인 편집에 의한 사건들의 순서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낱낱의 사건이 전반적인 구도 안에서 이해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와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그리고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사이에 섭송(uddāna) 의 사용 내지는 용도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편집시기의 차이에 따라 섭송이 분명하게쓰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한 모습을 보여준다. MSVBv 제5권의 전반부에서 붓다와 함께 내러티브를 이끄는 인물은 아자따사뚜이다. 그의 악업과 붓다에게의 귀의 그리고 공양은 사건들의 극적 구성 속에서 결국에는긍정적인 인물로 그를 그려낸다. 그의 교화시에 붓다가 보인 신통력은 아바다나라는 장르의 성격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MSVBv 제5권의 후반부는 붓다의 과거업의 이야기이다. 왕위에 못 오르게 되자 출가하여 벽지불이 된 후에 열반에 든 아들에게 붓다의 전생이었던 대선현왕이 그의 스뚜빠에 공양한 공덕을 그리는 에피소드이다. 같은 이야기가 다른 경전에도 있으나 MSVBv 는 주인공의 세속적인 좌절과 출가 후의 벽지불이 되는 과정을 극적으로 그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MSVBv 제5권에서 아자따사뚜와 붓다의 선업은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에 나오는 석가족 몰살 부분의 위류다까의 악업과 붓다의 과거 악업과 비교된다. 이는 업(業)의 중요성을 강조하려는 근본설일체유부의 의도적인 구성이다. 근본설일체유부는 교리적인 접근 보다는 극적인 내러티브 속에서 그들이 전달하려는 업(業) 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Mūlasarvāstivādavinayabhaiṣajyavastu (MSVBv) contains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last journey based on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It describes the Buddha's last scenes with a variety of dramatic instruments, and plots. Besides this, the Mūlasar vāstivādins attempt to display the ultimate principle of karma through their vinaya. This paper aims at demonstrating their inten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chapter five of the MSVBv.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the Vaiśālīpraveśa of the MSVBv, is the timing of the event. A possible explanation lies in the sequence of events in this context, rather than historical order or consistency with other texts. When the Mūlasarvāstivādins compiled these stories, the sequence of events and the relation between stories wer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nsidering the Mūlasarvāstivā davinayabhaiṣajyavastu (MSVBv), Mūlasarvāstivādavinayasaṃghabhedavastu (MSVSv), and Mūlasarvāstivādavinayakṣudrakavastu (MSVKv), we note the following observation. The different uses or functions of uddāna strongly suggest that compared to the well -organized MSVKv, the loosely structured MSVBv and MSVSv may have been compiled earlier. In the beginning of chapter five of the MSVBv, Ajātaśatru is the character who leads the narrative. His bad karma, his refuge in the Buddha, and offerings, give him a positive image in the dramatic structure of events. During his conversion by the Buddha, the magical power manifested by the latter, effectively shows the characteristic of avadāna. The last part of chapter five of the MSVBv is about the past good karma of the Buddha. As a father, the Buddha in his past adorned the stūpa of his son who had become a pratyekabuddha. Though the story is similar in the other texts, the MSVBv dramatically presents the protagonist’s secular failure of becoming a cakravartin and attaining the pratyekabuddha-hood. Lastly, in chapter five of the MSVBv, the good karma of Ajātaśatru and the Buddha contrasts with the bad karma of Virūḍhaka and the Buddha in the MSVKv. This is a marked structure of the Mūlasarvāstivādins, who stress the importance of karma. Instead of the doctrinal approach, the Mūlasarvāstivādins express their interest in karma, through the dramatic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