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상캬-요가 심리학에서 논의 범위는 자아의식과 지성이고, 이에 대응하는 유식학에서는 제7 말나식과 제8 알라야식이다. 그리고 이 둘 사상 사이에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두 사상 사이에는 의외로 많은 부분에서 소통할수 있는 많은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어쩌면 절대로 소통되지 않는 것도 있다. 두 사상 사이에는 어쩌면 서로건널 수 없는 다리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은 서로의 틀은 유사하지만 상캬-요가 사상과 유식학의 자존적 근본 명제까지는 침범하지 못하였다. 전자는 자아가 궁극적 실재임을 절대로 양보하지 못했다면, 후자는 그와 같은 자아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유식학에서는 삼매에서 일어난 영상이 마음과 차이가 없다고 확고하게 주장하지만, 상캬-요가사상에서는 삼매의 직관적 지혜에서 직관의 대상으로 반영되는뿌루샤가 마음과 다르지 않다고 확고하게 말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상캬 사상의 지성은 알라야식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원리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상캬-요가사상과유식학을 공평하게 말하면, 상캬-요가 사상의 관점에서 보면 ‘알라야식은 사이비 지성’이고, 유식학적 관점에서 보면 ‘지성은 사이비 알라야식’으로 간주될 수 있고, 또자아의식과 제7 말나식의 관계도 그와 마찬가지로 보아야 할 것 같다.


The discussed sphere of SāṁKhya-Yoga psychology is the ego consciousness(ahaṁkāra) and intellect(buddhi), the Yogācāra is the mono[-nāma-]vijñāna andālayavijāna. And then we can see possibilities of the communication with eachother between the two ideological explores. As a result, two thoughts issurprisingly able to find them. Nonetheless, Both is not communication as well. Between two thoughts seem tobe a bridge which can not cross. It is similar to their framework, the Sāṁkhyayogaand Yogācāra thought have never been invade to a self-respective fundamentalproposition. The former conceded the ultimate ego, the latter did not acknowledgesuch ego. Therefore Yogācāra declares that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ionand mind, but the Sāṁkhya-Yoga philosophy certainly assert which is notdifferent between the mind(citta) and the Puruṣa(pure mind) is reflected theobjective of intuitive knowledge(prajñā). In this respect, we able to see similarprinciples between the buddhi and ahaṇkāra of the Sāṁkhya-Yoga philosophy andthe ālayavijñāna and manovijñāna of Yogācāra. If we speak without prejudice the Sāṁkhya-Yoga philosophy and Yogācāra,‘the ālayavijñāna is pseud-buddhi’ in the viewpoint of the Sāṁkhya-Yogaphilosophy, ‘buddhi is pseud-ālayavijñāna’ in the viewpoint of Yogācāra, also theahaṁkāra and mano[-nāma-]vijñāna is a sam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