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간디와 파농은 근대 서양이 자행한 폭력적 식민주의에 맞서 그것을 부정하고 자유로운 인간과 자치적 사회를 모색한 저항목표에서 공통되었으나 그 부정의 저항수단에서 비폭력과 폭력이라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비폭력이냐 폭력이냐 하는 수단이 궁극적인 문제가 아니라 근대 서양을 부정하고 새로운 인간과 사회를 추구한 목표가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두 사람 모두 식민지와 식민지 이후의 제3세계가 추구해야 할 목표와 수단을 보여준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제3세계뿐만 아니라 제1, 2세계에서도 ‘근대’ 이후를 논의하는 경우 두 사람의 경험과 사고는 시민저항 일반의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M. K. Gandhi and Franz Fanon have commonness on denying violent colonialism of modern Western imperialism and on the protesting goal to grope for freedom of individual and autonomous society, but they were different on the means of protesting-nonviolent or violent. Therefore their ultimate purpose was not the means of protesting-nonviolent or violent. In that point, both are very important people to show goal and mean of the future of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world, especially on civil resistance deb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