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시재개발사업은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지역민의 삶의 질의 향상을 지향해야 한다. 그러나 그간의 도시재개발사업은 지역민의 이해 관철이 아닌 개발주체의 이윤확보에 우선하였다. 그 결과 재개발지역의 공공서비스 시설의 미비에 따른 삶의 질의 저하와 기존 지역민의 재정착 기회의 배제에 따른 사회관계 해체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대구시의 한 도시재개발지역은 이러한 문제를 재조명하고 학계에서 제시된 대안적 방식의 적합성을 점검하기에 좋은 사례지역이다. 재개발사업 시행된 지 2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주거공간과 지역민 사회관계에서 나타난 변화를 통해 재개발사업의 공과를 점검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공성에 기초하여 공동이익을 구현하는 사회적 자본론의 논의와 사회적 취약층의 자활에 기여하는 여러 가지 실천적 논의로부터 대안적 방식의 실현 가능성을 살피고 있다.


Urban re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designed for improving residents’quality of life. But most preceding projects aimed at securing developer’s profit rather than achievement of residents’ interest.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in redevelopment area deteriorate because of insufficient public service. Established social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were disorganized because most poor residents could not have a chance to resettle after projects. We can both inspect these problems and evaluate the relevance of alternative ways through scrutinizing an urban redevelopment area in Daegu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the spatial change and the change of social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during the last two decades, we can discern merits and demerit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 Finally, social capital theory and ‘community business’ discussion are applicable for groping desirable alternative urban redevelopment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