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3·1운동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커다란 분수령이자 독립운동의 호수로 평가된다. 그 까닭은 3·1운동이 1910년대 비밀결사 투쟁의 세류를 모아 1920년 이후 총체적 독립운동이라는 대하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3·1운동은 독립운동 참여 계층을 확대하고 이념과 방법론을 다양화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3·1운동은 한국독립운동사의 최고봉이었다. 따라서 그 이후의 독립운동은 이전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독립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 방식이나, 국제정세의 변동 등 외적 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으나, 3·1운동은 우리의 힘으로 독립운동의 지형도를 바꾼 획기적인 것이었다. 국내의 독립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 방식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전개되었다. 일제의 공포적 무단통치기에는 철저한 비밀결사의 형태를 지닐 수밖에 없었고, 기만적 문화정치기에는 일제가 허용하는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고자 하였다. 일제의 만주침략과 중일전쟁, 세계대전 도발 등 침략전쟁이 확대 강화되며한민족에 대한 탄압이 더욱 기승을 부리자 독립운동은 다시 지하화 하되, 일제 패망을 예견하며 광복 이후를 구상하였다. 이 과정에서 꾸준히 국외 독립운동 세력과의 연계를 추구하였다. 일제의 직접 통치하에 놓여 있던 국내의 독립운동은 국외의 독립운동과는 커다란 조건의 차이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독립운동은 다양한 형태로 총력적으로 전개되었다. 운동 주체를 기준으로 하면 농민·노동자·학생·청년·여성운동으로, 운동 계열을 기준으로 하면 사회운동·경제운동·문화운동등으로 대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세분하면 사회운동에는 여성운동과 형평운동이, 경제운동에는 물산장려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이, 문화운동에는 국학·언론·교육·예술·종교운동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운동 주체나 계열은 독자적인 영역을 지니기도 하지만, 중복되거나 복합적으로 전개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처럼 국내 독립운동의 양상이 복합성을 지니는 것은 이념의 다원성과, 방법과 전략의 다양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3·1운동 이후 부단히 전개된 국내 독립운동은 국외 독립운동과 연계를 시도하였으며, 결국독립을 쟁취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3·1 movement is evaluated as the biggest turning point and a good mov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is from that 3·1 movement had the streamlets get together of secret society struggles to make a big river of total independence movement after 1920s. 3·1 movement made the opportunity to expand the participant clas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o diversify the ideology and the methods. 3·1 movement was the highest authority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It makes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at considerably distinguished.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not help but be influenced by external conditions like the imperial Japan’s policy or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but 3·1 movement was the epochal event which changed the map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ourselve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unfolded confronting with the imperial Japan’s policy quickly. They had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secret society thoroughly during the Japanese military rule age of terror and they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permissible space during cultural politic age of deceiving. When the suppression on Korean people was getting stronger as the imperial Japan expanded and strengthened its war of invasion like Manju invasion, Sino-Japanese War and World War provocation, they had to become more underground but embodied after glorious restoration foreseeing the defeat of the imperial Japan. In this process, they sought for the connection with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under direct reign of the imperial Japan had great different conditions with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Despite of thi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unfolded with all its power and with various forms. We can classify it into subject of movement as the farmer, labor, student, young generation and women movement and into the class of movement as social movement, economic movement and cultural movement; the social movement can include feminist movement and equity movement, the economic movement can include Mulsan-Jangryo Woondong(Movement of Local Products Encouragement) and Consumers’ Cooperative Activities and the cultural movement can include the study of culture and heritage of Korea, media, education, art and religion movement. The subjects and the classes often had their own independent areas but there were many cases duplicated or complicatedly unfolded. Like this, the reason that the aspects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have many characters is from the multiplicity of ideology, the diversity of the method and strategy.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consistently unfolded after 3·1 movement tried to connect with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eventually it became the power to get the indepen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