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군 조직에서 개인 간 갈등 및 개인-집단 간 갈등과 집단성과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갈등관리 측면에서 상사의 지원과 구성원의 내재적 직무만족이 각각 갈등과 집단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의 집단성과는 구성원들에 의해 지각된 성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군 병사를 제외한 신분별 공군장병 606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 간 갈등과 개인-집단 간 갈등은 집단성과와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검증결과에서는 상사의 지원과 내재적 직무만족이 각각 개인-집단 간 갈등과 성과와의 부(-)적 관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갈등과 집단성과 간의 부(-)적 관계를 감안할 때, 이를 감소시키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사의 지원과 구성원들의 내재적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차원에서 상사가 구성원들에게 칭찬하고 격려해주는 긍정적 리더십을 배양할 필요가 있고, 구성원들의 내재적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전문분야에 맞는 직무를 배치해 준다거나 직무지식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향후에는 다양한 조직유형들을 대상으로 갈등과 성과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갈등과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다양한 상황요인들에 대한 규명이 필요할 것이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interpersonal conflict, individual-group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perceived by air force members in Air Force organiz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superior support, intrinsic job satisfaction on group performance has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We surveyed 606 identical air force members excluding the rank fo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proved that interpersonal conflict and individual-group conflict influenced on group performance perceived by air force members negatively. Superior's support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of air force membe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group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but they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try to resolve negative effect of conflict in military organization. Superiors need to support subordinates. To be concrete, kind of leadership like encouragement and praise from leader’s to followers need to be increased.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ing the potential capabilities of members in a organization, enhancing job autonomy of them, and giving them more responsibilities and variety in their jobs are needed to increase the intrinsic job satisfaction of members. In conclusion,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