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백석의 기행시편을 통해 1936년부터 1940년 전후까지의 암흑기를 견뎌내는 방식으로서 여행의 의미와 그것이 식민 주체에게 어떤 인식의 전환을 불러일으켰는지를 살펴본다. 관조적 시선과 낭만적 상상력이 지배적인 ‘남행시초’ 연작은 대부분 시행의 길이가 다분히 짧고 전체적인 분량도 적다. ‘남행시초’ 연작의 화자는 성인의 눈을 통해 처음 마주한 장소를 그 외양과 특산물을 통해 묘사하거나 길 위를 걸으면서 바라보는 풍경이나 상념을 담담하게 기술한다. ‘남행시초’ 연작은 전반적으로 부가적 반복을 통해 시상을 연결해나가다가 감정의 점층・고양을 통해 종결을 강화하는데, 특히 시의 종결부에서는 화자와 대상과의 동일시를 바탕으로 한 추측이나 바람, 감흥 등이 주로 나타난다. 여기에는 일제 식민지라는 현실적 맥락이 틈입할 여지가 거의 없으며, 화자는 대상과 거리를 두고 멀리서 관조하는 여행자의 시선을 끝까지 유지한다. 백석의 남행시초에 내재된 낭만적 상상력은 긍정적 세계의 불가능성에 대한 절망이나 억압을 전면화하기보다는 일상적이고 세속적 세계 속에 내재된 인정과 풍속에 대한 환희와 낙관적 인식을 내포한다. 내밀한 경험과 역사적 상상력이 두드러지게 부각되는 북방기행 시편은 북방 사람들의 생명력 넘치는 풍속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것이 사멸의 위기에 처한 현실에 대한 체념 혹은 절망을 낮고 무거운 어조로 드러낸다. 북방기행 시편은 ‘남행시초’ 연작과 구조적 상동성을 보이지만, 낯선 고장에서 부딪치는 막연한 느낌이 아니라 화자의 직접적이고 내밀한 경험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남행시초’ 연작의 주체가 이질적인 대상을 친숙한 대상에 중첩시켜 자기 동일성의 확인에 그치는 반면, 북방기행 시편들의 주체는 근접 감각을 통해 이질적인 것들의 타자성을 부각시킨다. 북방기행 시편에서 두드러지는 근접 감각과 반성적 사유를 통한 주체와 대상 간의 밀착된 거리는 관형격 지시사 ‘이’의 활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현전 효과’와 ‘공모 효과’라는 이중의 ‘의미 효과’가 창출하며, 감각의 현장성과 언술 행위의 현재성을 부각시킨다. 천진난만한 여행자의 감상에서 ‘나’와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으로 나아간다는 측면에서 백석의 기행시편의 시의식의 발전과 성숙을 보여준다. 이는 식민지 근대가 규정한 ‘조선적인 것’에 대한 반성적 사유에 기반을 둔 것이다. 낯설면서도 친숙한 우리의 혈통에 대한 깨달음과 식민지 근대에 핍박받는 민중들에 대한 연대감만이 조선적인 것에 대한 감상적 도취 혹은 고전적인 것의 낭만적 사유화를 극복하는 길이었음을 백석의 기행시편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ravel as enduring the dark period that from 1936 to 1940, and to find how the travel did change the way the subject of the colonial era understands things by Beak Seok’s travel poems. Expecially, this thesis postulates that these travel poems are quite emotional and different from his early work Deer(『사슴』) which reconstitutes a home town in a memory into a present time by an objective attitude, find the process of being overcome. A series of poems called “Namhaengsicho” which shows a contemplative tendency and a romantic imagnation, have a short length, a small amount. Traveler’s contemplative tendency is dominant over “Namhaengsicho”. This series, generally, connect poetic concepts through a additional repetition, and strengthen closural force with a climax and sublimation of emotion. Especially, the ending of the poem represents his view of a supposition, a hope, a feeling based on an identification of the poetic narrator with the object. In fact, there is no place for a realistic context, and the narrator maintains the contemplative tendency till the end. In short, the narrator’s attitude in these poems is based on a romantic imagination. The northern travel poem series which obviously magnified a confidential experience and a historical imagination, expose a scrutiny of north people’s lively custom, and manifest narrator’s resignation and despair that this custom is in danger of extinction by a dark and heavy tone. The northern travel poem series have a structural homology with “Namhaengsicho”, but it is different from that in a way that it shows a poetic narrator’s direct, and confidential experience, not a vague feeling in a strange town.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The northern travel poem series emphasizes the otherness of objects and concentrates on the story of object by proximity senses. The close-in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by senses and self-reflection in these series is found in a use of an indicative determiner “this(이)”. This involves a “presence effect” and “complicity effect” at the same time, and it also strengthens outstandingly the reality of sense and dicourse. Beak seok’s travel poems series shows a development and growth of his poetic awareness, because these poems advance to asking the identity of “I” and “We” from a naive traveler’s feelings. It is based on a reflective thinking of “things Chosun” modern times provide. We can verify that realizing our race which is strange and familiar at the same time, and the feeling of solidarity between people are the one way that we can overcome a sentimental intoxication of “things Chosun” or a romantic way of thinking of classical things by Baek Seok’s travel poems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