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金芝叟의 「서행록」(1828)은 홍순학의 「연행가」(1866)와 더불어 19세기 연행가사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홍순학에 견주어 그동안 작가 김지수에 대해 알려진 사실이 없었다. 즉 작가와 작가가 처한 정황을 알지 못한 채, 歌辭 텍스트 만을 대상으로 하여 「서행록」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런데 최근 ‘芝叟’는 金老商(1787~1845이후)의 호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正使 李球(1788~1836, 南延君)의 伴倘으로 참여한 김노상이 곧 김지수이며 그가 「서행록」의 작자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김노상이 당시의 청대 시인 張際亮(1799~1843)과 특별한 인연을 맺으며 긴밀하게 교유한 사실이 그가 남긴 시를 통해 상세히 밝혀졌다. 이 논문은 최근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이 연행가사의 작자 김노상의 이력과 「서행록」의 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김노상은 그동안 白衣 寒士로 알려졌는데, 족보와 계행보 등에 의거 그는 명문 경주김씨의 후예로서 경화사족의 일원이며, 또 조모・증조모가 모두 전주이씨 종실의 따님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가 남연군의 반당으로 선발된 데에는 이러한 가문적 배경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김노상이 서울 명문가의 자제라는 사실은 「서행록」을 새롭게 해석할 중요한 단서이다. 즉 「서행록」과 「연행가」는 경화사족의 자제가 지은 장편의 기행 가사라는 점에서 공통성을 지녔다. 특히 「서행록」은 경화사족 장편의 가사가 집중적으로 산출되던 1860년대보다 수십 년 먼저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19세기 경화사족 장편 가사의 선성이라 말할 수 있다. 김노상 일행은 연경에서 장제량 등을 우연히 만나, 두 달 동안 10여 차례 연회를 가지며 깊은 우정을 나눴다. 특히 장제량은 김노상의 적극성과 관후함에 감복하여 장편고시 「別使」 편을 짓는 등 조선의 사절과 절친하게 소통하였다. 「서행록」의 음식치레, 술치레, 청대 과거제도 묘사 등은 이러한 환대의 자리에서 얻은 체험과 정보를 담은 것이었다. 이 작품이 일반적 遊覽誌의 성격을 넘어 보다 내밀한 체험을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은 장제량과의 교유로 인해서였다. 「연행가」가 「서행록」의 성취에 결정적으로 못미치는 이유도 이러한 상호 환대의 체험의 부족에 있었다. 또한 「서행록」의 1차적 창작동기는 홀어머니인 68세의 모친 延日鄭氏(1761~1845)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즉 여성 독자를 의식하고 창작된 가사였다. 그 결과 여성들의 관심을 가질 만한 연경의 풍물과 인정세태가 「서행록」에 다수 포착되었고, 口語的 생동감이 특히 강조된 작품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