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대 그리스 비극에 대한 니체의 사유는 단순히 비극의 문제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 니체는 자신의 글을 통해서 현대인의 전형적인 문제, 즉 허무주의에 대한 견해 역시 밝히고 있다. 더 나아가 니체는 그리스 비극에서 의지의 영원한 생명력을 확인하고 있다. 관객이 비극을 통해서 삶에의 의지를 고양시키게 된다는 점에서 니체의 비극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 다른 차이를 드러낸다. 니체는 비극의 주인공이 파멸에 빠진다는 것이 관객에게는 이미 고뇌하는 디오니소스 신의 가면이라는 하나의 비유로서 작용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바로 여기서 관객은 자연의 잔인성을 들여다보는 동시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삶에의 의지를 갖게 된다. 이러한 니체 비극론의 핵심을 근거로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그리스 비극 공연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니체 비극론에 입각해서 한국에서 공연되는 그리스 비극의 전형적인 특징들을 확인하면서 관객에게 미치는 정서적 효과에 대해서도 함께 논구한다. 대상 공연으로 이성열 연출의 <오레스테스>와 박근형 연출의 <오이디푸스 왕>을 연구한다. 여기서 본 논문은 니체 비극론을 통해서 실제로 한국 공연들의 근본적인 문제점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며, 또한 각 공연이 가지는 특색 역시 살펴본다.


Nietzsche’s thinking on the ancient Greek tragedies is not only about the issues of the tragedy itself. In his writing, he states his views on the typical modern social problem, nihilism; he also ascertains the immortal vitality of the will throughout the Greek tragedies. He states that the audiences raise their will to live through the tragedies, which is that very difference to Aristotle’s theory. He puts emphasis on that the protagonist’s downfall or destruction affects the audiences as a metaphor of a mask of afflicted Dionysus? The audiences, here, witness the brutality of nature and attain the will to overcome it as well. On the basis of that reasoning in Nietzsche’s theory, the author would like to examine the Greek tragedies in Korea. More specifically, to identify the typical features of the Greek tragedies performed in Korea, expecially <Orestes> directed by Lee Seong-yeol and <Oedipus> directed by Park Geun-hyeong based on Nietzsche’s theory and also to cover their emotional effects to the aud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limits of Korean plays and the features of each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