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 조직성과, 임파워먼트, 상사신뢰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결과가 경찰조직에도 적용되는지를 분석하고, 변혁적 리더십과 경찰조직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임파워먼트 및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경찰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상사신뢰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대전지방경찰청의 6개 경찰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찰관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독립변수는 변혁적 리더십, 종속변수는 경찰조직성과, 매개변수는 임파워먼트와 상사신뢰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임파워먼트는 경찰조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변혁적 리더십은 경찰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상사신뢰는 경찰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의 분석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에 의해서 임파워먼트된 경찰관들이 경찰조직의 가치에 동일시되고, 업무를 주도적으로 실행하여 경찰조직 성과에 기여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li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empowerment, supervisor trust. E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mediating variable of empowerment and supervisor trust.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owerment, and empower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poli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n’t have a direct positive relation to poli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positively related to poli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supervisor trust variable.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supervisor trust, but supervisor wasn’t related to poli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police organizational managers should take great interest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trust in order to increase the poli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respect to long-term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