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최근 보들레르 미학을 다룬 논의들의 초점을 이동시키면서, 보들레르에게 있어서 이중성의 문제를 그의 작품들의 지형도 속에서 고찰하고 그것이 그의 글쓰기 방법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 미술비평문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살펴보고자 한다 . 보들레르 미학에 있어서 일시성과 영원성은 똑같이 중요한 요소이며 그 이중성 자체가 보들레르 미학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예술관 뿐 아니라 그의 인간관 , 자연관, 문학관 등을 모두 관통하는 이 이중성은 두 요소 사이의 끊임없는 운동과 긴장관계를 통해 보들레르 글쓰기의 특성으로 발전한다 . 필자는 단어들이 맥락에 따라 다른 색채와 의미를 띠는 글쓰기를 반(反)개념적 글쓰기라 명명하고 그것이 독서의 차원으로까지 논의를 확대하게 한다는 점을 보이려고 했다 . 보들레르 작품이 지니는 계몽성과 유희성은 이렇게 좀 더 넓은 차원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Shifting the focus of recent discussions on Baudelaire's aesthetics,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duality in the topography of his works and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this problem and his writing method. The element of transience and that of eternity have equal importance in Baudelaire's aesthetics, and the very duality of these elements is characteristic of his aesthetics. This duality, which can be discovered not only in Baudelaire's view of art but also in his views of the human being, the nature, and the literature, evolves into a characteristic of his writing through the continuous interaction and tension between the two elements. I call such writing method the "anti-conceptual writing", in which words have different tone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ir contexts, and I try to show that the consideration of this method can be expanded into the problem of reading. The element of enlightenment and that of play in Baudelaire's works must be considered from a larger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