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루소 정치철학에서 일반의지 산출의 두 조건들사이의 상충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루소는일반의지는 인민집회에서의 투표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경우 각 투표자들은 정보를 잘 알고 있거나 판단하기에 충분한 능력을 지녀야 한다(투표자 능력). 또한 그들은 특수이익을 지향하는 어떠한 부분적인 당파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도 자유로워야 한다(투표자 독립성).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루소는 입법자와 시민종교를 통해 시민적 덕성이라는 타율적인 요소를 도입하는 것처럼 보인다. 몇몇 주석가들은 이러한 비일관성이 일반의지의 정당성에 관한 루소의 생각을 위협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나는 일반의지 산출을 위한 두 조건들이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보충적인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럼으로써 나는 또한 루소의 고유한 민주주의의역설의 구조를 드러낼 것이다. 결론적으로 나는 ?사회계약론?에서 “자유롭게 강제됨”과 같은 악명높은 구절에 대한 대안적인 해석을 제안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ossible resolution to the apparent contradiction between the two conditions that give rise to the general will found in Rousseau’s political philosophy. On the one hand,Rousseau argues that general will of the people can be identified by how they vote in a popular assembly. In this situation, each voter should be properly informed or competent enough to judge (voter competence) the issue(s) at hand. In addition, they must be free from the negative influence of partial factions with particular interests (voter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Rousseau also introduces a heteronomous element of civic virtue that comes by means of a lawgiver and a civil religion. Some commentators think this inconsistency threatens the legitimacy of Rousseau’s conception of the general will. However, I contend that these two conditions for producing the general will are not actually contradictory but rather complementary. In doing so, I will also reveal the structure of Rousseau’s own democratic paradox. In summary, I will sugges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notorious phrases such as “forcing to be free” found in Rousseau’s The Social Con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