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요약> 주자가 자신의 수양론을 몇 차례 변경하게 된 근본동기는 무엇인가? 주자는 유학에 입문하면서 이통(李侗) 밑에서 미발 공부(未發工夫)를 하게 된다. 이것은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상(氣象)과 천리(天理)를 체험적으로 인식(體認)하려는 공부이다. 이 점은 그가 이통의 가르침을 ‘미발기상의 체인’에 대한 권유로만이 아니라 ‘천리의 체인’에 대한 권유로 표현한 사실로부터 알려진다. 그러나 그는 미발에서 천리(仁)를 체인하는 일에 실패하고 만다. 체인은 무엇에 관한 체인이든 이발(已發)에 해당되는 것이어서 미발에서의 천리 체인이라는 것은 자기모순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주자는 미발(未發)이 아닌 이발(已發)에서 천리를 체인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시도가 기상(氣象)을 급박하게하고 이발심이 천리 자체가 아니라는 점을 깨우치고는 다시 미발 공부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하지만 이제 그가 강조하는 미발 공부는 이전과 같이 미발에서 천리를 직접적으로 체인(體認)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미발에서 사의(私意)의 발생을 방지함에 의해 천리를 간접적으로 함양(涵養)하려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발공부도 이제 천리 자체의 체인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천리의 단서를 알아차려 보존함으로써 천리를 함양하는 공부로 된다. 이로써 주자의 수양론은 거경(居敬)에 의한 미발 함양과 이발성찰의 수양론, 곧 거경함양론(居敬涵養論)이 된다. 그런데 천리를 함양할 뿐 직접 체인하지 않는 미발함양과 이발성찰은 직접적인 천리 체인을 위해 별도로 격물궁리(格物窮理)를 필요로 하므로, 주자는 격물궁리를 점점 더 강조하게 된다. 그리하여 주자 수양론의 완성적 형태는 격물궁리와 거경함양을 포괄하는 궁리거경론((窮理居敬論)이 된다. 이런 과정을 살펴볼 때, 주자 수양론 변천의 근본동기는 천리 체인의 의지라고 해야 할 것이다. 천리가 유교와 불교를 구별지우는 근본 개념인 까닭에, 주자 수양론의 수립과정은 주자가 탈-불교적 수양론을 수립해 간 과정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주자의 탈불교적 수양론은 불교의 수행론과 여러 가지 구조적 상응성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로 주자가 말하는 ‘미발함양’은 어쨌거나 불교의 ‘참선’에 상응한다. 둘째로 주자가 격물궁리의 단계들로 말하는 ‘궁리의 누적’, ‘활연관통’, ‘유추’는 불교의 ‘점수’, ‘돈오’(또는 ‘무분별지의 체득’), ‘돈오 이후의 점수’(또는 ‘분별지의 체득’)와 구조적으로 상응한다. 셋째로 주자가 말하는 마음의 작용들(지각불매, 감정, 의념, 언동)에 대한 수양은 불교의 사념처(四念處) 수행, 곧 ‘신(身), 수(受), 심(心), 법(法)에 대한 관찰’에 부분적으로 상응한다. 이런 여러 가지 구조적 상응성은 주자의 수양론이 불교의 수행론에 영향을 받으면서 이에 맞서 수립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What is the basic motivation that caused Zhuxi to repeatedly alter his self-cultivation theory? After studying Confucianism under Leetong, Zhuxi tried to experience both a neutral mental state that would be sustained when emotion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didn't occur, and the heavenly principle that might be revealed in that neutral mental state. This point is known because he once stated that Leetong had encouraged him to experience a neutral mental state, and Zhuxi also stated at another time that Leetong had encouraged him to experience the heavenly principle. Zhuxi, however, failed in experiencing the heavenly principle in the neutral mental state. This is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heavenly principle can only mean an understanding of it through thinking, which cannot happen in a neutral mental state. Trying to experience the heavenly principle in the neutral mental state is self-contradictory. So, he thereafter tried to experience the heavenly principle not in the neutral mental state, but in the emotional mental state. However, after encountering the mental problem that such a trial could make the mind to be nervous and could not be the experience of the heavenly principle itself, he became new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cultivation of a neutral mental state. This cultivation is not of the trial of directly experiencing the heavenly principle in a neutral mental state, but the trial of indirectly nurturing it. Likewise, the cultivation of an emotional mental state is not of the trial of experiencing the heavenly principle, but of the trial of its nurturing. Therefore,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at this stage is to be called the theory of ‘the pious nurture of the heavenly principle’ in both the neutral mental state and the emotional mental state. Meanwhile, if the cultivation of both the neutral mental state and the emotional mental state are not of the trial of experiencing the heavenly principle, then the opportunity for its experience should be given in another way. Thus, Zhuxi could do nothing but emphasize more and more the importance of researching the principles of things. At last, the complete form of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is to be called the theory of 'researching principles and their pious nurturing.' According to the transition process of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the basic motivation that caused several transitions of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is exactly the will to experience the heavenly principle, and he finally realized that the heavenly principle remains embodied in the principles of things. The heavenly principle is the basic concept that differentiates Confucianism from Buddhism, so that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rocess of fixing an anti-Buddhist self-cultivation theory. Nevertheless, the complete form of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structurally corresponds to the Buddhist practice theory in some aspects. Firstly, ‘nurturing of a neutral mental state’ of Zhuxi corresponds to ‘Zen meditation’ in Buddhism.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gence all principles on the heavenly principle and penetrating all principles by the heavenly principle’ and the ‘analogical inference’ of Zhuxi corresponds to the relation of the ‘experience of indiscriminating wisdom’ a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ng wisdom’. Thirdly, Zhuxi's self-examination of mental actions such as ‘the neutral mental state, emotion, volition, and words and actions’ corresponds to ‘the Fourfold Protective Meditation’, which means successively introspecting ‘the body, perception, the mind, and mental qualities’. This multiple correspondence between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and Buddhist practice theory seems to be natural and unavoidable, because the former was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and against the l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