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62년 ‘국가공업특구’ 지정은 지리적 환경과 결합하여 농산어촌 지역이었던 울산을 새롭게 구성하는 변화의 기폭제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국가공업특구’ 지정 이후 산업수도, 생산기지이자 남성의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인지되어 온 울산지역의 산업화 과정을 함께 겪고 살아온 절반의 지역민인 여성의 삶을 고찰한다. 울산지역의 여성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사회의 산업화를 압축적으로 경험한 울산지역, 그리고 울산여성의 삶을 살펴본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산업화가 이루어지는 과정 속에서 중화학산업이 극적으로 성장하기 이전, 국가와 지역 산업의 단초를 마련하였던 경공업 산업분야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여성들의 자취를 살펴보는 것은 산업화 속의 여성 그리고 산업의 변화와 여성을 살펴봄으로 지역사회와 국가 그리고 산업화 과정 속의 젠더를 이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Since the 1962 ‘National Industrial Zone’ designation, Ulsan has undergone explosive population growth. In 1962, as a traditional rural region, the population of Ulsan was about 85,000, with 97.5 females for every 100 males. This study examines the lives of women and their leading role in shaping industralization and in the on-going development process of Ulsan as a ‘national industrial zone’. Women and their lives as well as some other social minorities and socially neglected phenomena have not been represented in national, regional or local histories and archives. This has also been the case in Ulsan. Listing and reviewing the past lives of women in Ulsan in the earlier industrializing period allows us to understand the social role of Korean women in that time, while shedding light on the changing shape of women’s status and position during the industri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