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경쟁제고’와 ‘반사실’의 두 가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경쟁제한적 기업결합 심사에서 항변으로 고려되는 효율성 및 파산기업 문제의 경제적 근거와 인정 요건들을 정합적으로 설명한다. 효율성 항변에 대해서는 그 경제적 근거가 효율성 증대 자체보다 효율성 증대가 초래하는 경쟁제고 효과에 있음을 강조한다. 파산기업 항변에 대해서는 당해 기업결합이 진행된 후의 경쟁 상황이 그렇지 않은 반사실 경우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 주요 경제적 근거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이해 방식은 최근의 관련 국제 논의 및 경쟁법 선진국들이 운용하고 있는 기업결합 가이드라인에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할 경우 항변의 인정 요건들도 정합적으로 설명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간의 국내 기업결합 심사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업결합심사기준』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소비자 이전 가능성 요건, 합병 특유성 인정 요건으로서의 제3자와의 기업결합 문제 등을 논의하며, 파산기업과 관련해서 경제적 근거 포함 문제 등을 논의한다.


This paper provides consistent understanding between the economic rationale of the ‘efficiency’ and ‘failing firm’ defenses and the conditions that the defenses require in the merger assessment process, focusing on two main concepts, ‘enhancing competition’ and ‘counterfactual’. This paper states that the economic rationale of the ‘efficiency’ defense rests on the effect of enhancing competition rather than on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itself. Regarding the ‘failing firm’ defense, the rationale is stated that competition would not deteriorate even when the merger proceeds compared to the counterfactual where it is prohibited. This understanding reflects not only recent international discussion but also the merger guidelines of advanced competition authorities. It also consistently explains the requirements of the defenses. Finally, this paper includes some comments on the Merger Review Guideline of Korea for its improvement based on various domestic merger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