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항 이후 조선으로 건너와 정착하기 시작한 일본인들은 초기에는 부산, 인천, 원산 등지에서 많이 살았다. 그러나 1910년에 이르러 일본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경성이 되었다. 재조선 일본인들이 조선에서 생활하는 데 가장 급선무 중의 하나는 그들의 자녀를 위한 교육기관을 갖추는 것이었다. 경성에서 재조선 일본인 교육기관의 역사는 1889년 小學 정도의 교육을 실시하는 시설을 갖춘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정식 학교로서의 역사는 1892년 소학교에서 출발되었다. 학교조합은 일본인 학교를 설립·운영하고 그들이 조선인과의 차별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 공공(公共)단체였다. 경성학교조합은 조선총독부가 1914년 3월말일자로 거류민단을 폐지한 다음 날인 4월 1일자로 설립되었다. 거류민단의 사무와 재정 가운데 교육과 관련되는 것은 경성학교조합으로 승계되었다. 일본인들은 특히 재정 부분은 최대한 교육을 위한 기본재산으로 승계하고자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였으며, 경성 지역의 주요 부동산 등 수익성이 있는 것은 대부분 경성학교조합으로 승계하였다. 일제강점기 동안 경성에는 조선에서 유일하게 유치원에서부터 대학교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경성학교조합은 거류민단 등에서 운영하던 일본인 학교를 승계받아 운영하였을 뿐 아니라 새로운 일본인 학교도 계속 증설, 운영하였다. 경성학교조합에서 운영한 학교 가운데는 소학교가 가장 많았다. 경성학교조합은 1931년 府에 있는 학교조합이 폐지될 때까지 존재하였다. 그러나 경성학교조합이 하던 역할은 조선총독부가 그 폐지와 동시에 조직한 부 산하 제1부특별경제에 계승되었다.


Japanese who had started to come to Korea to settle after opening ports(1876) mainly lived in Busan, Incheon and Wonsan. However, Kyeongseong(Seoul) was the city where Japanese population lived the most in 1910. One of the most urgent priorities needed by them was to hav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ir children. The history of Japanes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yeongseong started in that the facility performing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was equipped in 1889. The history of the formal school started at the elementary school in 1892. The Hakgyojohap(School Union) was a public organization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nd managing Japanese school, and letting Japanese have education differentiated from Korean. Kyeongseong-Hakgyojohap was established on April 1, 1914, the day after the Administration general of Chosun had abolished the Resident organizations in Korea at the end of March in 1914. Education-related matters among business and finance of Resident organization in Korea were succeeded to Kyeongseong-Hakgyojohap. Japanese made every effort to succeed financial part as a basic asset for the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finally succeeded most of the profitable parts such as major properties in Kyeongseong area.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contained all the courses from kindergarten to the university were established in Kyeonseong uniquely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Kyeonseong-Hakgyojohap succeeded Japanese school managed by Resident organization to manage and also kept increasing new Japanese schools to manage in seoul. The elementary school was the most among schools managed by Kyeonseong-Hakgyojohap. It existed until the Hakgyojohap in the Bu area was abolished in 1931. However, the roles of Kyeongseong- Hakgyojohap were succeeded to the "Department 1 of the Bu Special Economy Ministry" organized by the Administration general of Chosun at the same time of the abolishing the Hakgyojoh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