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강점기 서울 사람들은 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조선총독부의 민족차별적 주택정책으로 인해 만성적인 주택난에 시달렸다. 해방 후에는 여기에 더하여 약 250만 명에 달하는 해외 귀환자와 월남민 등이 남한지역으로 짧은 기간 안에 유입되어 각종 민생문제가 악화되었다. 그 가운데 특히 서울은 1945∼1946년 현재 대략 110만 명의 총인구 가운데 무려 23∼26만 명이 유입되었을 정도로 남한지역에서도 가장 극심한 인구증가를경험하였기 때문에 그로 인한 주택난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다. 이러한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 주택을 공급해야만 했지만재정난과 자재난으로 인해 주택 건설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따라서 해방 후 서울에서 돌아간 약 15∼16만 명에 달하는 일본인들이 소유하였던 가옥과 점포 등 귀속부동산을 적절히 활용하지 않으면 이 문제는 도저히 해결할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통칭 ‘戰災民’이라고 불리던 해외귀환자와 월남민들은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대개 극빈층이었기 때문에 장충동과 대흥동을 비롯한 임시수용소에서 신세를 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수용시설은 턱없이부족했기 때문에 그마저도 그곳에 들지 못한 사람들은 노량진 한강철교와 방공호, 그리고 주요 역전 등을 전전하며 노숙자와 다름 없는 삶을 살았다. 따라서 이들의 구호는 이제 좋든 싫든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하여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로 대두하였다. 특히 1945∼1946년 동절기를맞이해 이들의 월동문제가 화두로 등장했으나 미군정이 보건후생부를 통해 추진하던 토막과 가주택 건설은 잦은 공사 지연으로 인해 시기상 완공이 불가능했으므로 무언가 특단의 조치가 필요했다. 그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구 일본인 소유의 대규모 요정을 이들에게 개방해 최소한 집단동사 사태를 방지하자는 ‘적산요정’ 개방운동이었다. 서울시는 이러한 여론을 고려해 1946년 9월부터 회현동에서 충무로사이의 이른바 남촌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요정·유곽·여관을 조사해당장 기거할 곳이 없는 귀환자, 월남민, 도시빈민에게 제공하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러나 서울시는 번번히 계획을 축소하여 여론의 뭇매를 맞게되었고 급기야 미군정에 저자세로 일관하는 시장을 탄핵하자는 주장까지등장하였다. 당시 이들 ‘적산요정’은 과거 식민통치의 상흔을 상기시키는장소임과 동시에 해방 후에는 권력과 고급 정보를 독점한 극소수의 사람들이 개인적인 영달과 치부를 위해 서로 야합하며 온갖 사회악을 양산하는 몹쓸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이들 공간을 사회적 공익 차원에서 활용하자는 여러 정당과 사회단체의 주장은 시의 적절하고 타당한 명분을 지닌 것이었다. 그러나 1차와 2차에 걸쳐 이루어진 이 운동은 결국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실패로 끝났다. 이 글은 바로 ‘적산요정’으로 표상화된 서울의 귀속재산을 둘러싼 남한사회와 미군정의 미묘한 갈등과 타협, 그리고 그것이 향후 서울의 주택문제에 미친 영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 유입에 따른 주택난의 대두과정, 운동의 전개과정, 운동의 성격과 실패 원인 등을 두루 고찰하였다. 이것은 귀속재산 가운데 토지나 기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소략한 귀속부동산 불하의 前史를 사회사적으로 접근해 고찰한 사례연구라고 할 수 있다.


After Liberation in 1945, a great number of Koreans flowed in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ase of South Korea, owing to the influx of Koreans from abroad in the period of a year from August 1945,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from about 16.8 million to 19.3 million. Though the increase of population occurred all over the prefectures in South Korea, the population of Seoul increased most strikingly by the influx of returnees from North Korea and repatriates from Manchuria, Japan, and so on. On account of the increase of population in Seoul, the concerned authorities couldn't but take steps in order to secure not only buildings to accomodate but emergency food to serve them. To ease this problem, it was necessary to introduce three measures - dispersion of population into provinces that were low in population density, supply of new houses, re-usage of vested property (real estates owned by Japanese government and civilians) - and to combine these policies properly. USAMGIK, that was running deficit budget, should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making use of vested property - the houses, stores, apartments, and even facilities like military barracks. Furthermore, most of the people and political parties in Korea proposed that the properties should be used for refugees from other areas to ease the housing problem, and to uproot the vestige of the past history under imperialism. At the back of this asser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vested property belonged to all Koreans, so most of the Koreans insisted that USAMGIK should just play a role to manage the property as it was and to transfer it to Korea after the official government was established. Taking everything into consideration, the use of vested properties practically was both the most effective and reasonable solution. But at first, USAMGIK approached the matter based on the concept of private ownership, and allowed anyone to buy and sell it. Nevertheless the measure didn't last long because of violent opposition, so USAMGIK introduced the system of rental contract,declaring former trade invalid, and then started to build low-price houses. In the long run, the refugees had no ability to purchase the house,so some of them had no choice but to wander around Seoul, and the vested property was taken into the hands of a few speculators connected with USAMGIK. Behind this situation, there were USAMGIK's corruption and a policy that emphasized political stability to prevent the spreading of communism, which was their main purpose. To build low-price houses was just a political card to cope with the criticism concerning USAMGIK's wrong policy and disregarding attitude towards housing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