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financial capital flows in Korea, which provides an intriguing case for examining the volatility of such flows as an almost fully opened capital market. Our empirical analysis finds both pull and push factor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all three types of foreign capital flows- foreign equity investment, foreign bond investment and foreign other-type investment- in Korea, though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varies by sample period and type of financial capital. First, the determinants of capital inflows changed substantially following the 1997 currency crisis. The impact of push factors on foreign investment strengthened, rendering the Korean stock and bond market more susceptible to external shocks. Seco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increased global financial instability and preference for safe assets, appears to have had a negative effect on other-type investment. However, foreign equity investment showed a quick recovery in the wake of global financial crisis. Third, the effects of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on capital flows appear more complicated than expected. Korea’s opening up of the stock market to foreign investors in 1992 did not usher in foreign equity investment. The liberalization of foreign portfolio investment after the 1997 crisis produced a significant effect on equity, but not on bond investment. Still, how to stabilize capital flows amid more deeply integrated domestic and foreign financial markets is another matter.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자본이동의 안정성 제고가 전 세계적인 정책과제로 대두하였다. 1997년 외환위기를 계기로 자본자유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 한국의 경우 외국인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커지고 외부충격에 대한 국내금융시장의 취약성이 크게 증대하였다. 한국을 비롯한 신흥시장국들이 국제자본이동의 변동성을 낮추려면, 우선 자본이동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자본이동의 유형을 주식투자, 채권투자 및 기타투자(금융기관차입)로 나누어 각각의 경우 국내요인과 해외요인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1980년 중반 이후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자본자유화가 자본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자본이동에 미치는 해외요인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외국인 주식투자나 채권투자는 외부충격에 훨씬 민감해졌다고 하겠다. 글로벌 금융위기는 외국인 기타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외국인 주식투자는 한국경제의 조속한 회복세를 반영하여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국인 주식투자나 채권투자에 대한 자유화의 효과는 자본유형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1997년 자본자유화는 외국인 채권투자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외국인 주식투자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자본이동에 대한 해외요인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한 이상, 정책당국은 외부충격에 대한 국내금융시장의내구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금융기관의 건전성 규제 및 국제자본이동에 대한 감시ᆞ감독 강화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