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자에 『法史學硏究』 제44호(2011. 10), 제45호(2012. 4), 제46호(2012. 10), 제47호(2013. 4)에 네 차례에 걸쳐서 실렸던 『法學提要』(Institutiones Justiniani)국문 初譯의 번역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6세기 동로마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새로운 법학교재로 편찬하여 법령으로 공포했던 법학제요는 로마법사료 중에서 단일한 통일적인 법률문헌으로는 단연 대표적이다. 2세기 때 법학자였던가이우스의 『法學原論』(Gai Institutiones)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그 후의 법의 변화를 고려하여 시대에 맞게 편찬한 유스티니아누스의 법학제요는 서양에서 가장 많이읽혔던 법률문헌 중 하나였고, 심지어는 로마법을 계수하지 않았던 영국에서조차도기본적인 법률문헌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원전이 라틴어 원본으로부터 처음으로 한국어로 완역되었다는 것은 우리 학계의 경사이다. 그러나 아직 일천하고전문인력이 태부족한 우리 로마법학계의 현실상 기존의 의지할 만한 관련 연구성과들이 미미하여 번역에서도 아직까지는 여러 가지로 부족한 점들이 발견된다. 이곳에서는 모든 번역이 추구하는 기본원칙인 信·達·雅의 기준에 비추어서 초역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나, 지면관계상 원문과의 의미상 충실도[信]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초역에는 면밀한 교정 작업이 있었더라면 피할 수 있었을오식이나, 탈루도 발견되었고, 더러는 원의를 재현하는 데 부적절한 문장 구성으로불명해진 경우들도 있었다. 때에 따라서는 명백한 오해로 인한 오역이 생기기도 하였다. 가능한 한 최선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모든 번역이 그렇듯이 번역자의 주관성을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곳에서 제시한 대안이 참고가 되어 향후 더욱 완벽한 번역이 나오고, 그에 따르는 주석본이 완성되기를 고대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로마 법률용어의 역어에 대하여 새로운 검토를 하였다. 몇몇 경우에는 새로운 역어를 제안하였고, 기존의 역어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그리하는 이유를 밝혀서 앞으로 번역어의 선정에 있어서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말미에 일람표로 제공하였다.


This review article aims to scrutinize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the Institutesof Justinian, Institutiones Justiniani, published recently by Dschungmo-Ivo Seong asa series of contributions in the Korean Journal of Legal History) and to suggestsome corrections and alternatives to ameliorate the final product in order that it berendered more readable and credible to be a good basis for a further study ofRoman law in Korea. It tries at the same time to propose some new Korean wordsfor Roman legal terminology to get at a more proper understanding of Roman law,for many vocabularies of Roman law have not still found Korean counterparts whichcorrespond to the original words more or less precisely. The reviewer shares the common opinion that it is ideal for a translation to arriveat the equivalence of two texts, the source text and its translation, the target text,even if full equivalence is impossible. The test is how it has achieved the goal faithfully(信), fluently (達) and elegantly (雅). The first translation seems to be quite unsatisfactory in view of these criteria. The review shows, on the one hand, that the first translation has many mechanicalor formal defects both in the Latin and Greek text (e.g. Inst. II.20.33 ‘domino rectoetiam’ for ‘domino recte etiam’; Inst. III.21.pr ‘sic fit ut et hodie, dum queri nonpotest. scriptura obligetur’ for ‘sic fit, ut et hodie, dum queri non potest, scripturaobligetur’: Inst. I.2.3 ‘ἔγγραψοι … ἄγραψοι’ for ‘ἔγγραφοι … ἄγραφοι’) and inthe Korean translation (e.g. Inst. II.1.38; II.11.2 “한 칸 아래로 밀었음” for nothing;Inst. IV.6.29: ‘저당에 있어 우위에 있다고 우위에 있다고 정하였다’ for ‘저당에 있어 우위에 있다고 정하였다’) which a careful translator could have avoided. Achange of a positive meaning into a negative one seems to be one of such kindwhich apparently is caused by negligence, too (e.g. Inst. III.19.2 ‘utiliter’ revertedinto ‘무효로’). But sometimes, more seriously, the translation is exposed to substantial errorswhich must be absolutely amended. They consist of(1) misunderstanding of sentences (e.g. II.7.1: ‘nam cum prudentibus ambiguumfuerat, utrum donationis an legati instar eam obtinere oporteret, et utriusque causaequaedam habebat insignia et alii ad aliud genus eam retrahebant, 즉 법률가들에게모호하였기 때문에 그것이 증여 또는 유증의 표지를 가지는지 획정할 필요가 있었다. 두 원인으로 어떤 것은 표지를 가졌고 다른 이들은 다른 종류에 그 것을 귀속시켰다’) or words (e.g. Inst. III.14.3 ‘facilitati’ understood as ‘편익’ instead of ‘경솔’);(2) misrepresentation of sentences or words in Korean which may distort themeaning of the relevant sentences (e.g. Inst. I.15.2 ‘Quod autem lex ab intestato vocatad tutelam adgnatos, non hanc habet significationem, si omnino non fecerit testamentumis qui poterat tutores dare, sed si quantum ad tutelam pertinet, intestatusdecesserit. quod tunc quoque accidere intellegitur, cum is qui datus est tutor, vivotestatore decesserit. 그런데 법률이 無유언에서 후견으로 올 종족들이라 부르는 것은 후견인을 선임할 수 있던 자가 유언을 전혀 작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러한 의미를 가지지 않고, 만일 후견에 관한 것이 무유언으로 사망하는 경우에 의미를 가진다. 그때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유언자가 살아있는데 후견인으로선임된 어떤 이가 사망한 경우이다’; Inst. I.10.pr; I.23.pr ‘feminae viripotentes’translated as ‘여자는 강하여야 하며(결혼적령)’ or ‘힘을 갖춘(성숙한) 여자’); (3) use of conceptually not precise words for Roman legal terms (e.g. Inst. I.2.10:‘ineleganter’ = ‘非端雅하게’; IV.17.2/272: ‘praedo 강탈자(=악의 점유자)’); and(4) overlooking of some parts in the original text (e.g. ‘cum in proelium exituriessent’ in Inst. II.10.1 ‘altero, cum in proelium exituri essent, quod procinctum dicebatur’omitted in the translation). (5) There are not a few instances, too, where one technical term has found severalvarying counterparts. For example, ‘rumpere’ in ‘testamentum ruptum’ is translatednot uniformly, but divergently as ‘복멸’(Inst. II.13.1), ‘폐기’(Inst. II.17.pr/2/5), and‘파기’(Inst. III.1.pr). The explanations added to the translation also appear now and then insufficient. For example, the reference to litotes as to ‘ineleganter’ in Inst. I.2.10, n.10 (p.350)misses the mark. The reviewer tries to argue his choices as manageably as possible. It is, as a matterof fact, neither possible nor reasonable to summarize or even to describe the suggestionsin detail. It is hoped to re-consider the translation anew and to prepare abetter version before the final product sees the light of the world. At the end, a listof the alternative translations of the technical terms of Roman law is drawn up, partlydeviating from reviewer’s own usage hitherto. A typical example is actio bonaefidei for which now 성신소권(誠信訴權) stands, not 성의소권(誠意訴權) as before,or praetor for which now 법정관(法政官) is proposed instead of 법무관(法務官) asusually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