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광주외국인노동자건강센터’(이하 ‘건강센터’)라는 건강 돌봄 공간이 광주지역 이주자와 돌봄 제공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돌봄 실천의 현장으로 작동하고 있는 바를 ‘건강센터’ 공간과 참여자들에 대한 참여관찰과 인터뷰 자료를 통해 민족지적 방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건강센터’의 형성과 운영을 비롯해 당초 의료지원 주요 대상이었던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범주를 넘어 일반 이주자로 의료 지원 대상이 확장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건강센터’에 참여하는 의료봉사자와 의료 수혜자의 시각에서 ‘건강센터’를 바라보는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각자의 시각에서 센터에 부여하는 의미를 규명하고 있다. ‘건강센터’를 이용하는 이주자가 센터를 체류자격에 관계없이 오직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에 관심 있는 의료지원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건강센터'와 같은 민간차원의 의료봉사 기관이 이주자에게 한국사회 생활을 할수 있는 기초적인 안전장치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Gwangju Migrant Worker’s Clinic Center'(hereafter ‘clinic center’) is a non-government medical care center which provides medical care for migrants regardless of legal status. At the beginning of ‘clinic center’, main target people of ‘clinic center’ were illegal migrant workers who have suffered from rights to medical care in Korea.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scenarios of interactions between heath care providing volunteers like medical specialists and students and heath care receivers like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and their family member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s of 'clinic center' given by persons concerned, namely both heath care provers and care receivers. In order to get over the deficit of financial and medical supplies for improving quality and quantity of heath care of ‘clinic center’, it is necessary for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to closely collaborate and assist with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upporting medical rights to mig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