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평행사회를 둘러싼 독일의 사회적 담론을 분석하면서 크게 3개의 입장을 부각시켰다. 차이진영은 이주자밀집 지역의 황량한 모습을 불러내면서, 다문화주의에 의한 통합의 실패를 언도한다. ‘평행사회’가 들어섰다는 것이다. 이들은 서구적 가치 또는 독일적 선도문화를 상정하면서, 개별 민족문화들에 실체적인 내용을 확정하고, 그것들 사이의 차이를 부각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도시 활력을 염원하는 다양성진영의 경제공동체적 입장은 문화적 다양성이 가져오는 역동성을 기대한다. 이주는 정상적 경우로 간주된다. ‘평행사회’라는 것은 결국에는 모든 이주사회에서 등장하는 현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양성진영의 비판적-다원주의 입장은 경제공동체적 입장과 마찬가지로 통합의 실패에 대해서 말하는 자들의 일방성과 자기정당성을 비판한다. 이와 동시에 후자의 진보주의적 낙관주의를 비판하면서, 사회적인 권력관계와 배제담론에 주목한다. 요컨대 독일 이주자통합담론에서 평행사회 논쟁은 다문화주의의 실패 책임을 이주자들에게 떠넘기면서, 다수사회의 헤게모니적 지위를 공고히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This paper highlights three positions, analyzing German social discourses. The “difference block” sentenced the failure of multi-cultural integration, refe rring to the desolation of migrants-concentrated communities. It put forward the coming of “parallel societies(Parallelgesellschaften)”. It postulates the wes tern values or German dominant culture, confirms the ontic content of indivi dual national cultures, and emphasizes their differences. On the contrary, the position for the integration of economic community within the “diversity bloc k” looks for invigorating cities with global competitive power and anticipates the dynamics originated from the cultural diversity. It regards the migration as a normal case. The “Parallelgesellschaften” are only a phenomenon appear ing in all migration society. The position with the critical-pluralistic perspect ive within the “diversity block”, like the one for the integration of economic community, criticizes the one-sidedness and self-ratification done by those w ho mention the failure of integration. At the same time, these criticizes the l iberal optimism of the position for the integration of economic community an d make a focus on the relations of social power and the exclusion discourse. In a nutshell, the debate on the “Parallelgesellschaften” within the German di scourse on the migrant integration shifts the responsibility for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onto the migrants and serves for consolidating the hegemo nic position of the majority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