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민의 역사가 100년을 넘기면서 재미한인 사회는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질적인 성장도 이루어 왔다. 이러한 성장과정에서 한국계 미국인들은 정체성의 위기를 맞거나 정체성의 혼란을 겪기도 한다. 정체성의 형성은 전 생애에걸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든 이민세대들의 문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계 미국인의 정체성 인식이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그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며, 재미한인 사회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 Research Triangle Park) 지역에 거주하는 1 8세 이상의 한국계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계 미국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연령, 결혼상태, 연간가계수입, 교육수준, 제1언어, 영어구사능력, 한국어구사능력)에서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수정된 다집단 민족정체성은 세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2세대는 1.5세대와 1세대에 비해서 민족정체성이 더 높았다. 셋째, 문화정체성의 유형인집처럼 느끼는 나라와 자기규정 정체성도 세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아시아계 미국인 정체성은 세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는 못했을 지라도 2세대가 1세대 보다 높은 평균값을 갖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세대별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체성의 차이가 주는 의미를 해석하고 재미한인 사회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the Korean society has achieved not only quantitative but also qualitative growth. However, In this growth process, Korean-Americans are also suffering from identity turmoil or identity crisis. The formation of identity is a matter for all immigrants, because happens throughout their whole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y generation in Korean-American identity recognition,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se differences, and to formulate suggestions to the Korean community. To this end, a survey targeting Korean-Americans over the age of 18 living in the Research Triangle Park, NC, was don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orean-America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marital status, annual household income, primary language,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Korean speaking abi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eration in Revised Multigroup Ethnic Identity Measure. In particular, the second generation has higher ethnic identity than the 1.5 generation and the first genera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ltural identity pertaining to an immigrant’s identification with his/her parents’ home country. Fourth,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eration in the Asian-American identity. Al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t was encouraging that the second generation had higher identity level than the first gen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s in generational identity and presents some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ommunity. Finally, I explain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roposed some future re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