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지난 제17대 총선에서 인터넷 이용이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변인 및 정치적 경험이 비교적 동질적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통적 대중매체와 인터넷매체를 통한 정치정보 이용방식, 그리고 온라인-오프라인 정치참여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인터넷 매체이용과 전통적 대중매체 이용 사이에는 경쟁적․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한국의 젊은 세대들이 인터넷을 지배적으로 선호하는 ‘단일매체 이용자’가 아니라 신문도 읽고, TV도 시청하면서,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 정치정보를 추구하는 ‘다중매체 이용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오프라인 변수간의 유기적 상호관계를 고려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분석해본 결과 인터넷을 통한 정치정보 이용이 온라인 상의 정치행위 뿐만 아니라 투표참여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show how the internet use affected political participation both online and offline and voting behavior in the 17th General Assembly Election by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university students. Even though the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whole population, they share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political experience and belong to the similar generation. Thus the sample is quite useful in identifying 1) where they acquire political information, 2) how the voters in the ages of twenties use internet for political purpose and 3) how this online behavior affects voting behavior. Firstly, the resul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nd traditional medias are not exclusive and competitive but complementary in providing political information and organizing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means that in acquiring political informati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re not 'single media users' who just favor the internet but 'multiple media users' who read newspapers and watch TV as well as use internet. Secondly, by adop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takes online-offline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the paper argues that the gathering of political information via internet affected not only the pattern of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but also voting behavior in the offlin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