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서구의 정치경제적 지도력에 대한 회의론이 비등하고 경제력의 중심이 중국과 아시아 및 신흥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세계경제 거버넌스에 중요한 변화가 가시화되었다. 이 논문은 복합네트워크론의 시각으로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의 주요 특징을 분석했다. 복합네트워크 거버넌스는 국민국가 간 양자관계뿐 아니라, 다자적인 차원에서 정부간 국제기구, 정부네트워크, 그리고 초정부 네트워크 등이 일정한 책임과 권한을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세계경제협력의 초점으로 공인된 G20정상회의는 기존의 양자 및 다자, 공식 또는 비공식 국가 행위자들을 기능적 연결망으로 꿰면서 거버넌스의 복합네트워크화를 촉진했다. 다만, G20 프로세스는 시민사회 등 비국가행위자의 참여가 제한적이고 제도로서 지속가능성이 불확실하다는 점에서 복합네트워크의 촉진자로서 일정한 한계점을 지닌다. 정보화와 세계화의 흐름을 타고 가속화될 복합네트워크 시기의 한국 외교는 네트워크 내 연결성을 극대화하면서, 네트워크 간의 중첩성과 중복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has arguably dealt a blow to the West's political economic leadership in the world, but boosted China and emerging economies up to the new powerhouses. Reshuffling the distribution of economic capabilities among major powers entails a more visible change in global economic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x networks, this article analyz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a new mode of economic governance. Such 'complex network governance' is a type of governance in which, along with traditional bilateral inter-state relationships, multistakeholders such as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networks, and transnational networks shar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In particular, the G20, officially recognized as a focal point of world economic cooperation, has promoted a networked governance of world economy by functionally connecting the existing bilateral and multilateral, formal and informal, state actors. The G20 has some weaknesses as a facilitator of complex network governance in that it has allowed a very limited involvement of non-state actors and that its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is still shaky. Korea's economic diplomacy needs to focus on maximizing connectedness within the networks and utilizing the overlapped and embedded governance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