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그동안 학문적으로 깊이 논의되지 못한 중복입후보제를 독일, 뉴질랜드, 일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며, 그 도입배경, 의도된 목표와 정치적 효과, 실제 운용상의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비교대상 3개국은 각기 다른 배경 하에서 각기 다른 목표를 가지고 제도를 도입하였다. 일반적으로 중복입후보제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들에서는 정당정치를 활성화하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각 정당은 중복입후보제를 전략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정당의 득표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정당의 리더십을 보호하는 데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한국의 경우 지역주의 완화를 위하여 중복입후보를 허용하게 되면 취약지역에서의 정당활동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유권자 입장에서 소선거구제가 갖는 사표를 어느 정도 구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is thesis strives to explore the field of dual candidacy, which has not much been academically discussed in depth so far.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of three countries – Germany, New Zealand, and Japan – this thesis looks to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purpose and political impacts, contrasts in practical use, and so forth. The three countries under analysis introduced the institution of dual candidacy, each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and with different goals. On a general note, it can be witnessed that, in countries that implement dual candidacy, it positively effects the activation of party politics. By strategically utilizing dual candidacy, not only can each party promote its vote maximization but also see it positively contribute to protecting party leadership.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if dual candidacy is to be allowed in order to mitigate regionalism, it is expected that party operations will be active in a greater degree in vulnerable areas. Moreover, the institution possesses the merit that dead votes, which would be made under the single-member constituency system, can be redeem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vo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