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에게 1972년 데탕트는 소련으로부터 제기되는 안보위협을 상쇄하고, 국제적 고립상태에서 탈피하는 것은 물론이고 국내에서 문혁의 혼란을 극복하는 과정이었다. 중국은 미국과 협상과정에서 베트남, 북한, 일본 등 다양한 지역문제를 제기하고 민족해방, 인민혁명, 패권주의와 강권정치 반대 등 이념적 원칙을 상대적으로 강조했다. 그럼에도 협상 결과를 놓고 볼 때, 중국의 최대 관심과 실리는 미국과의 관계개선, 그리고 이를 통한 국제적 고립 탈피와 안보 확보에 있었다. 중국이 다양한 지역 문제를 제기하고 이념적 원칙을 고집했던 것은 ‘제국주의 미국’과 관계개선의 명분과 정당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국내외에 야기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전략적 의도 때문이었다. 중국은 2012년 이른바 ‘신형대국관계’ 라는 새로운 데탕트를 미국에 제안했다. 1972년과 2012년의 가장 현저한 차이는 중국의 국력과 국제적 위상, 그리고 안보 인식이다. 중국은 이제 더 이상 안보위협 때문에 적과의 데탕트라는 전략적 선택을 고민할 필요가 없을 정도의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1972년은 미국이 주도권을 쥐고 데탕트를 진행했다면 2012년의 데탕트는 중국이 부상 환경 조성을 위해 선제적이고 주도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중국의 새로운 데탕트 제의가 40년 전과 같은 충격적인 새로운 국면을 조성하지도 않겠지만 동시에 1972년 처럼 현재 양국이 동시에 직면하고 있는 내부 불안정을 돌파하기 위한 제한적 범위와 영역에서의 협조체제는 유지해갈 가능성을 제시한다.


Chinese leaders decided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o offset a security threats from the Soviet Union, after Sino-Soviet border conflict broke out in 1969. They also have expected that the rapprochement with the United States would help it to break away from international isolation of it and to overcome the confus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文革). China has raised a variety of regional issues, including Vietnam, North Korea, Japan, and also emphasized the ideological principles such as national liberation, people's revolution, and anti-hegemony in the process of the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It was because of the strategic intent to minimize the impact that may be caused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and to ensure the justification of rapprochement with "American imper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