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본충실도가 높은 은행이 고위험-고수익 사업에 투자하여 부실화될 수 있는 가능성은 은행이론의 주요한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만약 자본충실도가 높은 은행의 투자위험과 파산확률이 더 높다면, 이는 오늘날 은행 경영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중요한 감독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는 자기자본 규제제도의 유효성에 대하여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자본충실도의 증가가 투자위험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는 구체적 경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주제에 관한 은행이론을 평균-분산 모형, 주식가치 극대화 모형, 경영자의 대리인 문제 모형, 포괄적 접근 모형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로는 위험기피도가 낮은 주주-경영자의 효용극대화, 예금보험의 옵션가치, 대출비용함수의 존재, 감독규제의 제약, 내부 경영자의 노력기피 도덕적 해이, 경영자의 사적편익 추구 등을 들 수 있다. 앞으로 남겨진 연구과제는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경로를 탐구하는 한편 자기자본 규제제도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완적인 제도적 장치를 강구하는 것이다.


The possibility that a highly capitalized bank goes to bankruptcy due to an investment in a high risk-high return project has been intensively studied in banking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possibility of bankruptcy of a highly capitalized bank raises a significant doubt on the validity of the capital regulation which is regarded as a main regulatory instrument to establish bank safe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rvey banking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nk’s risk-taking incentives and capitalization. Banking literature on this issue surveyed in this paper i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mean-variance portfolio selection model, equity value maximization model, bank manager’s agency problem model, and comprehensive approach.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a highly capitalized bank might increase risk due to less risk-averse shareholder’s utility maximization, option value of deposit insurance, loan cost function, regulatory constraint, bank insider’s effort aversion moral hazard, managerial private benefit. Topics to be addressed by further study in this area include how the changing financial environments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bank’s risk-taking incentives and capitalization, and what kind of supplementary regulatory instruments must be introduced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capital 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