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수업비평문을 통해 드러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분석 관점을 탐색하고 수업비평문 작성이 갖는 중등 예비교사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35명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수업비평문을 교수설계, 수업실행, 교수자측면, 학습자측면에서 탐색하고 수업비평문에 내재되어 있는 예비교사의 수업분석 관점을 있는 그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는 교수자 관점보다 학습자 관점에서 수업자의 교수활동을 비평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는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장면을 비교해 가면서 비평하기보다는 수업장면을 중심으로 비평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는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된 내용을 중심으로 실제 교수-학습활동을 비평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넷째, 예비교사는 자신만의 관점보다 대학 강의를 통해 습득한 교육학 이론을 근거로 교수-학습활동을 비평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같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수업비평문 작성과 관련하여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perspective of a class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critiques and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such class critique writing as educational method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is study, 35 pre-service teachers’ critiqu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n exploratory manner. The pre-service teachers’ lesson analyses on the critiques were investigated in four aspects, such as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instructor side, and learner side.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 tended to criticize the teaching of the less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 than the teacher perspective. Second, we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 had a tendency to criticize the lessons based on actual class scenes rather than lesson plans. Third, we explor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 criticized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specially described contents in the lesson plan. Fourth, we identified that the pre-service tended to criticize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pedagogical theory acquired through their college lectures than their own points of view.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 discussed concrete measures of class critiques that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