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학습공간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공유 활동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개의 교사학습모임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습모임은 학교 안과 밖의 다양한 공간을 학습의 장으로 이용하고 있었고, ‘베이스캠프(basecamp)’ 역할을 하는 공간에서는 주로 정기모임과 전문성 함양을 위한 학습이 이루어졌다. 둘째, 교사학습모임은 여러 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모임과 같은 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모임으로 나뉘는데, 두 유형모두 한 공간 안에 모여 학습하게 된 계기는 한 명의 리더 교사에 의해 마련되었다. 셋째, 결성 당시에는 ‘같은 학교 교사학습모임’이었으나 교사 전보로 인해 ‘여러 학교 교사들로 이루어진 학습모임’으로변하게 된 경우, 학습공간 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넷째, 교사들이 업무공간 안에서 일상적으로 학습모임 활동을 한 경우, 수업개선, 학생지도, 교육과정운영 등에 관한 지식이 생산·공유되고 교육현장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사의 학습공간과 지식공유에 관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learning spaces and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in teacher learningcommunities. Results were compiled via qualitative data obtain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interviews,and an analysis of materials involved in the sampled fiv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e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conducted their activities in manydifferent spaces but regular meeting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s were held in a specialspace, which is similar to a ‘base-camp’. Seco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dividedinto two types; teachers working at the same school and teachers from different schools. However,a lead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riginal formation of both types of communities. Third,communities that consisted of teachers from different schools, which had originally consisted ofteachers working at the same school, had difficulty in getting their own learning space. Fourth, inthe cas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at shared knowledge between colleagues in their dailyoccurrences, there was an effect on knowledge creating, knowledge sharing and application ofteaching, guiding students, curriculum implementation. A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on teacher’s learning space and knowledge sharing is included in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