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제주시 지역에서 다문화교육 거점학교, 다문화이해교육학교, 다문화이해교육 정책연구학교로 지정된 다문화교육 중심학교의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와 경험이 없는 교사 간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 차이가 있는지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조사 대상 전체 교사의 평균 이상에 해당하는 교사와 평균 미만에 해당하는 교사 간에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와 생활지도에서 차이가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다문화교육 중심학교의 교사들 중 절반가량이 다문화 관련 강의 수강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교사가 수강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과 다문화 관련 강의의 수강 여부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목표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좀 더 체계적인 교사 다문화교육 연수체제의 구축과 함께 다문화적 지식을 제공해줄 수 있는 교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다음으로 일반적으로 교사의 다문화 관련 연수 경험에 따라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나타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와 없는 교사 간에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현재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운영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조사 대상 전체 교사의 평균 이상에 해당하는 교사와 평균 미만에 해당하는 교사 간에 교사의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와 생활지도 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다문화교육이 내실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가 다문화교육에 관심을 갖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다문화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될 필요가 있고 관련 수업 자료의 개발 및 학습 지도와 생활 지도에 대한 매뉴얼이 필요하다.


This study assessed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wareness, attitudes and educational guidance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core-schools in Jeju-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think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but lack knowledge,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teaching materials. To solve this problem, improvements to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is needed. Second, the experience of attending lectur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concerning multiculturalism play an key role in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student learning and daily-life guides should not only be level appropriate but also goal-orien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teachers working at multicultural education-centered schools have limited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ism. Fifth, instru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have less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the teachers who work in multicultural education-centered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rgent changes are need to develop more systematic education training courses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