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백제의 복잡한 건국전승을 통해 건국신화를 복원해보려는 입장에서 『三國史記』 百濟本紀에 나타난 백제 건국전승의 한 계통인 解夫婁-優台-沸流 전승과 中國史書에 나타난 仇台 전승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解夫婁의 庶孫으로 나타나고 있는 優台는 高句麗의 官階인 于台 및 중국사서의 仇台와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東扶餘의 분열과 고구려 초기의 정치적 변동 및 공손씨 정권과의 관련 속에서 解夫婁-優台(仇台)-沸流 집단의 백제 유입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解夫婁-金蛙-帶素로 이어지던 동부여는 고구려 大武神王의 공격으로 帶素王이 죽음을 당하고 분열하게 된다. 그 가운데 대소의 막내 동생은 曷思國을 세우고, 대소의 사촌동생은 고구려 椽那部에 편입된다. 그리고 갈사국을 세운 曷思王의 손자 都頭는 太祖王 때에 고구려에 복속되어 于台에 임명된다. 于台는 那(那部) 내부 한 집단의 長을 의미하며, 이때 于台 都頭는 이전에 대소의 사촌동생이 연나부에 편입되었던 예와 마찬가지로 那(那部) 내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백제 解夫婁-優台-沸流 전승에서 解夫婁의 庶孫으로 나타나고 있는 優台는 바로 해부루의 방계 혈통인 이들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백제 유입 과정은 중국사서에 나타나고 있는 仇台 전승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는데, 公孫度 정권 시기에 있었던 고구려의 왕위 계승 분쟁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곧, 발기와 함께 한 涓奴加와 下戶 三萬餘口 세력이 고구려 왕실의 분열 속에서 帶方과 관련된 지역에 자리잡게 된 사실이 구태 전승으로 전해진 것이라고 보았다. 이들은 고구려의 沸流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왕족 涓奴部 세력이었기에, 解夫婁의 庶孫 優台와 그 아들 沸流의 전승이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들 집단은 남하하여 대방과 관련된 지역인 임진강 유역에 자리잡고 있다가, 古爾王 때에 백제 왕위를 차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legend of Haepuru(解夫婁), Utae(優台) and Piryu(沸流) and the legend of Kutae(仇台) in the Chinese historical texts in order to rebuild Paekche(百濟)’s origin myth through the state’s complicated founding legends.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Utae, who was illustrated as Haepuru’s grandchild of a concubine, was related to Utae(于台), one of the Koguryŏ’s government rankings, and Kutae in the Chinese histories. In accordance with this assumption, this paper demonstrated the process of the influx of Haepuru, Utae and Piryu’s groups into Paekche in relation to the disunity of East Puyŏ(東扶餘; Tongpuyŏ), political changes in the early period of Koguryŏ, and the power of the Gongsun Family. East Puyŏ, which the kings transcended from Haepuru and Kŭmwa(金蛙) to Taeso(帶素), was divided into pieces and King Taeso died during the invasion of Koguryŏ under the leadership of King Taemusin(大武神王). In this process, the youngest brother of Taeso established Kalsakuk(曷思國; Kalsa State), and Taeso’s cousin joined Koguryŏ’s Yŏnnapu(椽那部). Then the grandchild of King Kalsa, the founder of Kalsakuk, surrendered to Koguryŏ during the reign of King Taecho(太祖王); Totu(都頭), the grandchild of King Kalsa, was entitled Utae(于台) by Koguryŏ. Utae(于台) refers to a head of the group in Na(or Napu; 那 or 那部). It is likely that Totu was included in Na like Taeso’s counsin was previously admitted to Yŏnnapu. Thus, it is possible that Haepuru’s grandchild of concubine, Utae(優台), in the legend of Haepuru, Utae and Piryu indicates the descendents in Hapuru’s collateral line. The process of their influx into Paekche could be seen through the legend of Kutae in the Chinese historical texts, which is related to Koguryŏ’s dispute over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during the reign of the Gongsun Family.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Yŏnnoka(涓奴加) with Palgi(發岐) and his 30 thousands people settled in Taifang(帶方) area in the process of the disunity of Koguryŏ’s royal family was remembered as the legend of Kutae. The legend of Utae(優台) and his son, Piryu(沸流), could be born since they were Yŏnnopu, the former royal family resided at Piryusu(沸流水). This group possibly went to the south and settled in Imchin River, an area which was strongly connected to Taifang, until they took Paekche’s throne during the reign of King Koi(古爾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