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세계유산에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공유문화를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 백제의 역할과 문화의 가치를 알 수 있었다. 백제는 고구려와의 대결 상황에서 중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자신에 맞게 재창조하였다. 또한 주변의 나라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백제문화를 한반도와 일본열도로 전파하여 동아시아 공통의 문화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에 따라 공주 지역에서는 산성이 왕성이라는 특징을 보인 공산성과 동아시아 문물 교류를 가장 잘 보여주는 송산리고분군이 등재되었다. 부여 지역에서는 백제의 독특한 굴식 돌방무덤을 완성한 능산리고분군, 평지성과 피난성이라는 왕성 구조를 완성한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도성의 안팎을 구분하는 외곽의 전체가 남아 있는 나성, 대중법회를 개최할 수 있는 강당이 강조된 정림사지가 등재되었다. 익산 지역에서는 백제 무왕의 익산 경영을 보여주는 왕궁리유적과 불국토의 실현을 희망한 미륵사지가 등재되었다. 현재 고대 동아시아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유적은 빈약하고 매우 희소하다. 때문에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잘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그 정당성과 의미가 여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meaning and value of the Baekje Historic Area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Baekje actively received Chinese culture, while confronting with Koguryo, and recreated it according to its own style. In addition, it als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formation of the common culture of East Asia, by spreading its own culture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in order to attract neighboring countries. Therefore, Gongsanseong Fortress and Royal Tombs in Songsan-ri located in Gongju areas were registered; Royal Tombs in Neungsan-ri, Archaeological Site in Gwanbuk-ri and Busosanseong Fortress, Naseong City Wall and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and Archaeological Site in Wanggung-ri and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Very few and scant relics showing interactions of ancient East Asia culture currently exist. Hence, it is primarily necessary to maintain and manage the Baekje Historic Areas. This is valid and meaningful, due to lack of rel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