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흄이 『인간본성에 관한 논고』(A Treatise of Human Nature)에서 제안했던 정의론은 여타의 정의론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흄에서 정의의 덕은 최상의 포괄적인 덕도 아니요, 배분에 관한 사회적 기본구조의 문제도 아니다. 그는 정의의 어휘를 각 개인이 행하는 재산권 관련 법규칙들의 준수행위에 적용했고, 정의의 덕이란 계약을 성실하게 이행하고 차용금을 제때 갚으며 타인의 물건을 약탈하지 않고자 하는 성향,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흄의 정의론은 당대의 사회계약론에 대한 그의 반론이기도 했다. 그는 사회의 기원을 재산권 규칙들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다뤘고, 재산권 규칙들이란 상호 소유물의 약탈을 방지하고 소유물과 관련한 다툼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수단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본고는 흄의 정의론을 재산권 규칙들의 정립 과정으로서의 묵계(convention)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다뤄지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권으로서의 재산권개념을 주창한 로크나 재산권제도를 자산가들의 기만책으로 파악한 루소와 달리 흄은 재산권제도의 정립을 노동협동을 통해 더 많은 양질의 재화 생산을 원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들이 행하는 합리적 선택의 결과물로 이해했다. 흄에게 재산권 개념이란 사람들이 상호 소유물을 존중하고 서로에게 각자의 재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의 행동의 합치(agreement), 즉 재산권 규칙의 정립을 위한 묵계가 이뤄지기 전에는 성립하지 않는 것이었다. 둘째, 흄은 사람들이 재산권 규칙들의 묵계를 이루는 이유는 물질적 재화의 두 가지 특성인 불충분성 및 비안정성이 각 개인의 자기이득 추구의 성향과 결합하여 초래하는 분규와 다툼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노동 협동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라고 보았다. 물질적 재화에 대한 욕망인 ‘탐욕’은 그 자체로서는 무한하고 불가항력적인 것이어서 공동체 형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성공적인 노동 협동체의 구성을 위해서는 탐욕이 적절한 수단을 통해 규제될 필요가 있다. 재산권 규칙들은 바로 그러한 수단적 성격을 부여받는다. 셋째, 재산권 규칙들의 성립을 위한 묵계는 가족-사회에서의 경험을 통해 배우는 협동의 이득에 대한 공동의 인지(common sense)에서 출발한다. 흄은 협동을 경험해보지 않은 자들이 협동의 이득을 선험적으로 예상하여 사회 형성을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보았다. 협동의 이득을 경험한 자들 중 누군가가 타인의 소유물에 대해 비약탈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면, 나머지 사람들은 이를 모방하게 되고 점차적으로 다수의 사람들 간에 타인의 재화에 대한 상호 비약탈의 행동 규칙이 확립된다. 넷째, 흄에 의하면, 최초의 재산 취득의 규칙은 각자의 현재 점유물을 각자의 것으로 존중하는 현재 점유물 존중의 규칙이다. 최초의 몫의 확정이 문제시되는 바로 그 시점에서 각자가 점유하고 있는 물건을 다른 별도의 고려 없이 각자의 것으로 간주하라는 이 규칙은 ‘가장 자연적이고 편리한 방책’으로서 현재 점유물에 대한 점유자의 애착을 잘 반영하고, 사람들에 의해 가장 쉽게 떠오르고 쉽게 수락된다는 장점을 지닌다. 다섯째, 이러한 흄의 정의론은 중요한 점에서 내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인간이 사회를 형성하는 이유는 각자가 더 많은 양질의 재화를 향유하기 위해서라는 흄의 주장이 맞는다면,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바람직한 사회란 모든 각 개인의 필요가 빠짐없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충족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각 개인의’ 필요의 충족에 대한 숙고는 각 개인의 자기이득 추구적인 타산적 계산과는 구별된다. 흄에서 인간은 자기이득 추구적인 호모 에코노미쿠스로만 상정되며, 그리하여 그의 이론은 저러한 숙고를 위한 관점의 제공에 실패한다.


The theory of justice proposed by Hume in A Treatise of Human Nature distinguishes itself sharply from other well-known theories. In Hume, the virtue of justice is neither an overall supreme virtue nor one relating with social basic structure. His vocabularies of justice are applied to the particular observances of property rules, and virtue of justice consists in nothing other than such inclinations as to honestly perform contracts or to return borrowed money in promised time or not to deprive others of their own goods. Hume's theory of justice was his response to social theory of contractarianists at that time. He dealt with origin of society in the light of establishment of property rules, which he thought are artificially invented as a means of prevention of attacking each other’s possessions and of settling disputes concerning properties. In this paper, I examine details of Hume’s justice theory, and show the following points. First, unlike either Locke who declared property right as a natural right or Rousseau who regarded private property institution as a fraudulence of proprietors, Hume understood establishment of ownership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uniting labor forces, and as a result of rational choice of Homo Economicus who hopes to enjoy better and more goods. For Hume, concept of property right would not appear till people make a convention, i. e., an agreement of their acts in respecting each other’s possessions, and guarantying each other opportunity of enjoying her own goods. Second, the reason why people make such a convention is that property rules are efficient means to resolve property disputes resulting from scarcity and instability of material goods. These two traits of goods, conjoined with one’s self-love, are liable to entice someone to deprive others of their goods, and to appropriate them to herself. Avidity, the desire for material goods, is in itself destructive for formation of society, and it needs to be controlled by some artificial means. No limitation of avidity, no social community. Third, the starting point of convention of property rules is the common sense of benefits from cooperation, and that sense is learned from the experience of cooperation in family-society. Hume did not think that it's possible for people who haven’t had experience of cooperation to predict benefits of cooperation, and to make society to get such benefits. Society appears when among people equipped with knowledge of benefits from cooperation established is the way of conduct of non-attacking each other’s possessions. Once a person takes such an attitude, the others imitate it, and among people gradually arises an agreement of acts, i.e., a convention of respecting each other's property. Fourth, according to Hume, the rule for initial acquisition is to respect each one's present possession when it comes to assignment of first share to each one, and so to regard whatsoever one possesses as one's own just property. This rule is the most natural expedient, in that it reflects well the natural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possessor and possessions. Compared with other rules, for example, the rules of utility or fitness, the present possession rule has the advantage of resolving the problem of how to determine initial allotments without causing any new conflicts. The rule immediately occur to people and they easily acquiesce in it. Fifth, Hume's theory has it's internal limit in a very significant point. Given that human beings try to make social community for the sake of enjoyment of more better goods, it might be said that the most desirable society would be that in which every individual's needs for goods could be measurably satisfied. But deliberations for satisfying of every individual's needs is not the same as merely self-interested calculations for one's own benefits. In Hume's theory, human being is depicted only as a self-interested Homo Economicus, and the theory fails to provide perspective appropriate for such delib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