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노숙인이 통치되고 (재)생산되는 후기자본주의적 논리를 감정사회학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노숙인을 통치하는 새로운 복지체계를 탈감정주의 개념을 통해 밝히고, 후기자본주의체제 하에서 노숙인이 발생하고 관리되고 처리되는 과정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게 부상하는 자원은 바로 감정과 그것을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다. 노숙인은 복지 장치에 의해 구성되면서, 복지 장에서 다른 일련의 복지 장치들과 대면하고 조우하면서 생존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복지 장은 노숙인들에게 특별한 감정양식을 요청한다. 즉, 고백, 반성, 자조, 자활의지, 임파워먼트 등 심리적 자원을 스스로 끌어내게 하고 이러한 자원은 자활프로그램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노숙인 집단 내 위계를 형성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이러한 감정활용은 전문적으로 체계화되고 도구화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면서 점점 당자사들 간의 진정한 감정교환을 어렵게 만든다. 필자는 이 같은 상황을 탈감정주의사회의 한 양식으로 파악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노숙인을 비롯한 후기자본주의체제에서 생존하는 빈민들은, 역사적으로 늘 그래왔듯이 해결이 아니라 통치 대상이며, 이제 이 통치는 감정 영역에 개입하여 작동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logic of post-capitalism which the homeless are reproduced. Especially, I try to explain new welfare system which govern the homeless though the concept of postemotionalism and the process that they are supervised and controlled under post-capitalism regime. Here, it is emotions and competence managing them that are rising as the important resource. The homeless are constructed by welfare dispositif and build survival network in encountering different kinds of welfare dispositif in welfare field. Welfare field demands particular emotional style of the homeless. That is, welfare dispositif makes the homeless themselves encourage psychological resources, for example, confession, reflection, self-supporting, self-help, will to empowerment. And these resources are useful for self-supporting program and work as mechanism that make rank inner the homeless group. In the basis of discussion above I suggest that the poor(including the homeless) living under post-capitalism regime are not the object of solution but government, and more and more this government is involved in emotion area de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