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시대 성리학은 통치 이념과 철학적 사유체계 및 각종 사회조직과 자치규범으로 표방되었다.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형성되었던 각종 계(契)와 결사(結社) 조직이성리학적 자치규범인 향약으로 그 외형을 탈바꿈하였다. 향약은 일향(一鄕) 동리(洞里) 촌(村)을 단위로 시행되기도 하고, 문중 교우 및 각종 상부상조 조직 등의 운영 명분으로도 활용되었다. 이중 재지사족과 지방관 주도로 시행되었던 일향 단위의 향약은 자치의 명분을 가장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재지사족들은 자치의 명분으로, 지방관은 원활한 통치의 목적으로 향약을 활용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 경상도 밀양도호부에서 시행된 일향 단위의 향약도 이 틀 속에서 이해 할 수 있다. 밀양에서 시행된 일향 단위의 향약은 크게 세 단계로 살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사림파의 종장이었던 김종직(金宗直)이 활동하던 15세기 후반이다. 그는 정부에 유향소 복설, 향사례(鄕射禮) 향음주례(鄕飮酒禮) 거행을 건의함과 동시에 밀양에서 이러한 향촌교화사업을 시행하는데 직간접적으로 간여하였다. 이 시기 김종직의 활동은 17세기 이후 밀양 향사당(鄕社堂)에서 향약을 시행하는데 사회적 기반과명분이 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밀양 지역에서 향안(鄕案) 질서가 확립되던 17세기 무렵으로, 지방관인 밀양부사의 협조를 받아 향사당에서 시행할 향약이 제정되었다. 이때의 향약으로는 1648년의 「무자향약(戊子鄕約)」이 전하는데, 향사당 조직과지방 행정의 하부구조인 면리(面里) 조직을 포괄한다는 규정이 주목된다. 향약의권위를 통해 관권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확립이 시도되었던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18~19세기로 향약의 권위를 보장하던 향안 질서가 붕괴된 시기다. 18세기 밀양의 재지사족 조하위(曺夏瑋)는 향약 조직에 고을의교임(校任) 이임(吏任) 등에 대한 인사권을 부여시킨 향약을 제정하여,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복구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방하였다. 19세기에는 「무자향약」 과 조하위의 향약을 참작해 지방관이 향약 제정을 주도해 나갔다. 향약이 자치보다통치의 수단으로 활용되던 경향을 보여준다.


Neo 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served as the rationale or cause behi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and autonomous norms. In particular, Hyang'yak(Village Compact) that was practiced on the basis of Ilhyang under the leadership of provincial noble famil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most clearly reveal the cause for autonomy. Ilhyang based Hyang'yak that was practiced in Miryang-Dohobu,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can be understood within this frame and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late 15th century where Jong-jik Kim, the head of Sarim Party, was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He was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village enlightenment projects such as restoration of Yuhangso and implementation of Hyangsarye and Hyangeumjurye(Confucian ceremonies and banquets) in Milyang. The second stage is around 17th century and an iconic Hyang'yak called Muja Hyang'yak was established in 1648. It is noticeable that this Hyang'yak contains stipulations regarding the extended coverage of governance that includes Hyangsadang (shrine) and Myeonri ogranizations. The third stage is 18th and 19th century when autonomic aspects of Hyang'yak were weakened. In response, provincial noble families of Milyang in the 18th century established Hyang'yak that granted Hyang'yak organizations th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over Confucian school personnel and public officials in a bid to restore village governance order oriented toward noble families. Enactment of Hyang'yak in 19th century was led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seemed to use it as a means of governance rather than of aut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