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신사참배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살피면서 당시 조선에 있었던 서구인들의 신도에 대한 인식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20년대 일제는 영미협조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에 조선 내의 모든 사람들에게 신사참배를 강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1930년대 ‘만주사변’, 특히 1937년 중일전쟁발발 무렵에 일제는 후방의 동원을 위해 조선 내의 모든 학교에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당시 기독교계 사립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던 미국선교사들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해야했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조지 맥큔에서 보듯이 ‘신도종교론’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에는 당시 동경제국대학교의 종교학과 법학교수들의 ‘신도종교론’적 입장이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이들 이노우에 테츠지로나 호즈미 노부시게 등의 황국사관이나 황도법학 등은 반서양적 논리와 일본의 특수성에 호소하는 것이었지만 이들의 주장은 선교사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신사참배 반대논리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호래이스 언더우드에게서 드러나듯이 현실적으로 신사예식의 종교적 부분이외에는 얼마든지 신사참배에 참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 인물들도 있었다. 특히 미국 외교관들과 대부분의 일본 내 선교사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종교상대론적 입장에서 신사참배를 받아들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신도와 천황제가 긴밀하게 결합되어있었음을 생각할 때 이는 전후 천황제문제의 처리방향에 대해 많은 것을 암시해준다.


This article has an aim to survey the disputes about Japanese shinto and to see how westerners understood this issue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1920-1930s. During the 1920s Japanese government did not enforce shintoism upon all the Koreans because Japan pursued a conciliatory policy toward the UK and the U. S. In the 1930s, especially around the Second Sino-Japanese War, Japan forced all the schools to go to Shinto shrine for war mobilization in Korea. American missionaries, therefore, had to reveal their attitudes towards this issue since they managed mission schools. Majority missionaries assumed the 'shinto-religion' theory, the position that is well shown in George S. McCune's case. The faculty members in Religious and Law Department at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supported this ideas based upon nationalistic thoughts. While these people such as Inouye Tetsujiro and Hozumi Nobusige resorted to anti-western and Japanese particularism with imperial way of historical thoughts and emperor-based legal theory, western missionaries actively appropriated these nationalistic ideas for their ends: anti-shintoism. However, there is a person like Horace H. Underwood who argued that even christians are able to participate into shinto shrine worship except religious parts in the ceremony. Moreover, American diplomats and several missionaries in Japan would be eager to accept the ceremony based upon religious relativism.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hinto and emperor system, these diverse attitudes about shintoism suggests the ways how the emperor system was handled in post-war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