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919년의 3․1 운동을 세 가지 직접성의 형식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세 가지 직접성의 형식이란 첫째, 언어와 현실 사이의 직접성, 둘째, 현재와 미래 사이의 직접성, 셋째, 인민과 대표 사이의 직접성을 뜻한다. 3․1 운동이 제 1차 세계대전 직후의 세계정세, 특히 민족자결주의에 의해 크게 영향 받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그 관련의 양상을 ‘직접성’이란 개념을 통해 시도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3․1 운동은 민족의 독립에 대한 선언이 곧 독립이라는 현실을 불러오리라고 믿은 언어-현실 사이 독특한 관념에 의해 고무되었고, 유토피아적 미래가 임박해 있다는 시간감각과 더불어 발전했으며, 종래의 법률적 대표 대신 자유․평등․정의의 개념에 입각한 새로운 대표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전 세계적 감각을 공유한 속에서 전개되었다. 이 직접성의 형식이 당시 국제 정세와 맺은 관계는 ‘상응(corréspondence)’이라고 불러야 할 종류의 것으로, 위 혹은 외부로부터 받은 수동적 영향과 대별된다. 유럽이 근대의 과잉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한 당시, 한국은 근대와 갈등하기 시작한 비근대(unmodern)의 사회로서 유럽에서 경험하고 있던 ‘비결정’의 상황에 공명했다. 비록 제 1차 대전 이후 세계질서 재구성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갔고 3․1 운동 당시 민중적 기대의 대부분이 무산되기는 했지만, 과감한 직접성의 형식을 통해 기성 질서에 도전했던 당시의 경험은 지금도 시사하는 바 크다.


March 1st Movement of 1919 was a part of the global utopian moment. In Korea, the story of the March 1st Movement has been narrated primarily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national spirit, so other aspects still await further research and investigation. I suggest a concept of the immediate to shade a light to other aspects of the movement: the immediate at the levels of time, language, and subject. The Movement spread out in the belief that Korea already gained its independence, or it was to be gained through manifesto/ declaration, and a subject of declaration could be formed through self-determination. The speech act of declaration/ manifesto, as materialized in leaflets and newspapers, had the power to transform the world. Crystalized present and yet coming future were embraced at the same time through such an act, and people who volunteered or were delegated by various ideological-practical groups named themselves ‘representatives’ while negating a positive power of colonial governance. Those levels of the immediate that denies the power of old establishments, resonating in the unmodern circumstances of Korea, corresponded to the global transformation after World War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