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CMIM 체제가 과연 글로벌 거버넌스가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전문성과 현저성을 갖춘 지역 거버넌스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시탐하는 데 있다. CMIM 체제는 아직까지 완전한 거버넌스체계를 정립하지 못했지만 잠재성은 충분하다. 우선 기존 CMI 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금융위기를 사전에 예방하고 위기가 도래했을 경우의 실질적 방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계속 보완하고 있다. 또한 다른 글로벌 거버넌스와 달리 탈패권적이면서도 제도적 균형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아직은 출발단계지만 독자적 감시기능 수행을 위해 강제성과 구속력을 갖춘 공식 사무국도 출범시켰다. 무엇보다도 회원국들이 APT 회의를 통해 계속해서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 점이 고무적이다. 향후 CMIM 체제가 아시아통화기금(AMF)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한중일 3국의 협조적 공조체제가 유지되어야 하며, 한중일 3국은 ASEAN에 대해 시혜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the new regional governance mechanism, the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CMIM), on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So far, the CMIM is not a full qualification for the governance, but it has a sufficient potentiality for governance. The CMIM fulfils the necessary conditions such as antihegemony in contrast to other governance. ASEAN+3 countries launched the AMRO which has a function of a new regional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ystem. The CMIM, however, has the several limitations: insufficient amount of swap facilities available under the CMIM, IMF-CMIM linkage program and their cooperation, among others. China and Japan is fiercely competing for hegemony in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Unless this political issue is fully addressed, it is highly unlike for the CMIM to efficiently function in preventing and managing a regional crisis. China and Japan decided to maintain its close cooperation system to solve the financial problem. China and Japan must provide dispensational leadership to ASEAN. And Korea has to act as a mediator among the nations of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