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반도에서 분단 이후 군사적․이념적 대립과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이유를 구조적․비판적으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콕스의 ‘역사 구조’ 개념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 세 가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한반도 비평화 구조는 물질적 능력, 이념, 제도로 형성․발전해온 역사적 구성물이자 관련 이해당사자 간 상호작용의 장이다. 둘째, 한반도 비평화 구조는 사회세력, 국가, 세계질서 등 3차원에서 나타난다. 이들 3자운동은 국면에 따라 그 양상을 달리하는데, 탈냉전기에는 3자 간 상호작용이 무정형으로 나타나며 비평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 셋째, 한반도 평화 구조의 변화는 대안적 제도의 등장과 3차원 중 약한 고리의 발견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그것이 나타나려면 국내외적으로 진보적 사회세력의 조직화가 요구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structurally and critically the grounds for the continuous military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conflict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division. To achieve this, the ‘historical structure’ theory of Robert Cox has been utilized. 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points were founded. First of all, the structure against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historical construction that has been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physical capacity, ideology, and system, and it is a place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lated stakeholders. Secondly, the structure in the peninsula appears in three dimensions, namely the social power, the state, and the world order. These three facets take on different aspects under different context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e interaction among the three facets has been formless and the structure against peace is continuing rather than changing. Thirdly, an appearance of an alternative system and a formation of a slight link between the three dimensions are going to be variables of the change of the stru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requires organizing the progressive social power at home and abroad.